완도군 등 타 지자체 운영
리아스식 해안인 해남 더 심각

▲ 해남군통발자율관리어업공동체가 매년 연안바다에 방치된 폐통발 및 폐어구를 수거하고 있는 가운데 바다쓰레기의 68%를 차지하는 양식어구의 자율적 수거도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다.

 서남해안의 분기점에 있는 문내면 녹도 바닷가는 해류가 휘감아 돌아가는 곳에 위치해 있어 쓰레기 천국이다. 매일 바닷가 쓰레기를 수거해도 물때가 바뀌면 다시 쓰레기가 밀려오는 게 해남 해안가의 상황이다.
이유는 해남은 작은 섬들과 리아스식 해안으로 이뤄진 폐쇄형이어서 조류의 흐름에 따라 쓰레기들이 섬과 해안가로 표착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해남은 중국을 비롯한 서해안 바다에서 떠밀려온 쓰레기가 이동하는 통로이고 해남바다 쓰레기는 다시 일본 대마도로 이동한다.
아무리 수거해도 다시 쌓이는 바다 쓰레기는 이미 지구의 문제로 대두했다.
바다 쓰레기와 관련해 완도군은 해양쓰레기 전문 환경미화원을 운영하겠다는 방침을 내세웠다. 또 강원도 강릉시도 해양환경미화원과 함께 항·포구에 무인카메라까지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충청남도는 현재 39명인 해양환경미화원 수를 내년 79명으로 2배 늘리기로 했다.
제주시와 서귀포시도 각각 50명씩의 해양환경미화원을 배치해 해양쓰레기 수거 및 분리작업을 하고 있다.
해양쓰레기는 정부나 광역자체단체 지원이 이뤄져야 하는 광범위한 사업인데 수거 비용은 국비 50%ㆍ지방비 50%로 충당하고 있다. 국도비 지원 50%로는 쓰레기 비용처리에 한계가 있지만 각 지자체가 나서 이를 해결하고자 나선 것은 더 이상 바다쓰레기를 방치하기에는 바다의 오염이 너무도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해남도 해양환경미화원을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해남군은 올해 해양쓰레기 수거 비용으로 8억3000만원을, 내년에는 9억원을 편성할 계획이다. 이중 선상 집하장 설치도 매년 늘고 어민들이 양식어구 등을 가져오면 매매대금도 지원할 방침이다. 현재 해남바다에 설치된 선상 집하장은 35개 정도이다. 
또 해남군은 폐스티로폼 감용기를 활용해 해양쓰레기를 줄이고 재활용에 나서고 있다.
군은 지난 2016년부터 이동식 어업용 폐스티로폼 감용기를 도입, 어촌계를 순회 운행하며 폐스티로폼을 현장에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바닷가로 밀려드는 쓰레기를 수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 선착해 놓은 쓰레기가 그때그때 처리되지 않아 해남의 모든 어촌마을은 항상 쓰레기가 가득한 풍경이다. 
해남군은 해양쓰레기는 어업 활동 중에 발생하는 것뿐 아니라 집중호우 시 육상쓰레기가 유입되고 중국에서 바람과 조류를 타고 오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며 해양쓰레기는 지자체 차원이 아닌 정부차원에서 처리비용을 지원해야 한다고 밝히고 있다. 
그러나 생명의 보고인 바다의 쓰레기를 더 이상 방치하기에는 그 규모가 커지고 있어 해양환경미화원 제도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의견은 군의회에서도 제기됐다.
이에 해남군은 지자체 차원에서 인건비를 충당하기가 어렵기에 장기적으로 검토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와 함께 지자체 재정 형편상 국비지원을 70%로 상향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여야 한다는 의견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