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질없는 후보 철저한 검증 필요

2014-04-01     해남우리신문


군수와 군의원 선거 예비후보 등록이 시작됐다. 예비후보 등록과 함께 선거도 뜨거워질 전망이다.
문제는 후보 검증과정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무공천으로 후보를 검증할 몫이 전적으로 유권자들의 손에 달렸다는 것이다.
물론 정당공천의 폐해도 많았지만 사기, 범죄행위 등의 전과에 대한 1차적인 후보검증 시스템은 있었다. 그러나 무공천은 이러한 시스템마저 사라져 후보를 검증할 유일한 방법이 유권자들의 투표밖에 없게 됐다.
물론 후보들 간에는 젊었을 때의 혈기로 폭력 등의 전과를 가질 수 있다. 그런 점에선 안타깝다. 그러나 죄질이 나쁜 범죄 기록의 후보들은 예외이다.
후보들의 공약집에는 전과기록이 게재된다. 엄밀히 따져야 한다.
또 정당공천이 유지되는 도의원 선거와 도지사 선거에 있어 각 정당들은 후보들의 검증을 철저히 해야한다.
지난 4년 전 민주당이 보여준 공천의 사례는 없어야 한다. 당시 민주당의 후보공천은 지역 사회에 커다란 반발을 불러왔다. 이번에는 경선이전에 1차적인 후보검증을 해야 한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무공천으로 군수와 군의원 선거 후보 대부분은 무소속으로 출마한다. 물론 통합진보당 후보들은 당명을 가지고 출마한다.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후보들의 전적인 검증은 유권자에게 달려있다.
특히 군의원 선거는 지역색이 뚜렷하다.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출신을 군의원으로 배출하려는 움직임이 이번엔 더욱 활발할 조짐이다. 그러나 지역출신후보 이전에 더 중요한 것은 후보의 자질이다. 자질이 없는 후보의 진출은 우리의 자존심과 관련이 있다.
아쉽게도 이번 각종 선거 출마후보들에 대해 지난 선거보다 자질이 더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전반적으로 후보의 하향평준화 현상이 짙다는 것이다. 후보들의 하향평준화는 선거 냉소주의를 불러올 수 있다. 이미 냉소주의가 시작됐다. 씁쓸하지만 선거는 선거이다.
유권자들의 검증이 더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새정치민주연합의 무공천에서 실시되는 6․4지방선거, 유권자들의 후보 검증이 그 어느 선거보다 더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