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3 총선에 거는 기대
선거는 최악의 선택을 피하기 위해 덜 나쁜 후보를 선택한다는 말이 있다.
아마 이러한 말은 최상의 후보를 선택하려 하다보니 최악의 선택을 불러온 그동안의 선거에서 교훈을 얻는 말일 것이다.
4․13총선이 얼마 남지 않았다. 출마할 후보들의 면면도 속속 들어나고 있다.
설은 온 가족이 모이는 날이다. 단연 화제는 4․13총선이 될 것이며 출마할 후보들에 대한 이야기도 화제의 중심이 될 것이다.
이번 총선은 후보를 선택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야권의 도시인 호남에서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당, 즉 2개의 야당이 존재하는 선거가 됐기 때문이다. 호남은 막대기만 꽂아도 당선된다는 말이 나올 만큼 정통민주당 강세 지역이다. 이러한 호남의 정서 때문에 더불어민주당은 정통민주당의 적손임을 강조한다. 국민의당은 뉴DJ를 외치며 DJ의 정신을 잇겠다고 주장한다.
한때 더불어민주당은 정치 물갈이를 외쳤다. 물갈이 중심은 호남이었다. 더민주의 패권주의와 호남물갈이 설에 반발한 호남 국회의원들이 대거 탈당해 국민의당으로 합류했다. 더민주는 위기에 처했지만 어찌보면 호남의 경우 국희의원들의 탈당으로 자연스러운 물갈이가 돼 버렸다. 이젠 국민의당이 그 위치에 서게 됐다. 국민의당은 합류한 호남 정치인들을 어떻게 할 것인가.
제3당을 추진하고 나섰다면 과감한 인적쇄신이 필요하다. 기존 정치인들과 별반 다를 바 없는 후보들을 진출시켰을 때 호남에서의 패배는 당연한 귀결로 이어진다.
더민주도 마찬가지다. 더민주는 호남에서 국민의당보다 여러면에서 우위에 있다. 그러나 새로운 인물들을 국회에 진출시켜야 한다. 호남은 정통민주당의 뿌리였지만 그것으로 인한 피해도 컸다. 거대야당을 견제하기 위해 인물이 못 미치더라도 정통민주당 인물을 국회로 보냈다.
이젠 그러한 일이 되풀이 돼선 안된다. 한국정치가 왜 이리 후퇴했는가, 현 정부와 여당의 책임이 크지만 제1야당인 더민주의 책임도 크다. 오는 20대 총선은 선선한 인물을 놓고 즐거운 투표한번 해봤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