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취학 아동까지, 도청 대규모 집회 예고

송지어란, 8월3일 집회신고 만호해역은 마을의 생존권

2020-07-31     김유성 기자
송지면 어란 주민들이 지난 29일 만호해역 해상시위를 위해 어란항에 집결했다. 이날 해상시위는 짙은 해무 때문에 도중 중단됐다.

 ‘김양식장 면허 연장은 해주지만 땅따먹기는 너희들 알아서 하라?’
만호해역을 두고 다시 쟁점화된 해남군과 진도군의 어장분쟁이 8월 들면 더욱 격렬해질 전망인 가운데 송지 어민들의 비판의 화살이 전남도로 쏠리고 있다.
전남도가 만호해역 김양식 면허권을 갱신해주면서 정작 현행대로 하라는 내용을 누락시켜 해남군과 진도군과의 분쟁을 재현시켰다는 비판이다. 
이에 어란어촌계는 오는 8월3일 전남도청 앞에서 대규모 집회를 예고했다.
당초 지난 29일 진행하려 했던 만호해역 해상 시위는 해무 때문에 안전상의 이유로 중단됐지만 전남도청 앞 집회는 600여 명의 어민과 학생, 미취학 아동까지 모두 출동하겠다고 선언했다. 한 마을의 생존권이 걸린 문제이기에 전 주민이 나서겠다는 의지의 표출이다.
또 김양식을 준비하는 8월부터는 만호해역에서 해남어민과 진도어민이 마주칠 일도 잦아 벌써부터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지난 20년 전 분쟁에서 송지 어민들이 진도대교를 점거농성하는 등 3명이 구속된 예가 있어 이번에도 큰 마찰로 번질까 하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만호해역 분쟁은 20년 전 법원의 화해 조정으로 일단락됐다. 조정내용은 해남어민들이 개척한 만호해역 1만2,000ha 중 20%에 해당되는 1,370ha를 해남어민에게 면허를 주는 대신 진도어민들에게 1,370ha에 해당되는 신규 면허지를 내주는 내용이었다. 그런데 면허기간이 올 6월로 만료되자 전남도는 지난 2월 만호해역에 대한 면허권 연장을 해줬다. 
이때 송지 어민들은 10년 전 진도 어민들에게 1,370ha 면허지를 조건부로 준 것은 상생을 위한 합의 내용이었고 또 10년마다 반복되는 어업권 분쟁을 종식하기 위해 이번 면허권 연장에 송지 어민들의 어업권을 명문화해달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전남도는 기존대로 김양식을 하라는 단서조항 없이 면허권만 연장해 줬고 이에 진도어민들이 소유권을 주장하며 송지 어민들에게 나가라고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현재 송지 어민들은 지난해 2월 전남도 관계자들에게 면허연장과 관련 기존대로 해야 한다는 조건을 요구했는데도 이를 누락시켜 분쟁을 키웠다고 비판하고 있다.
박성진 어란어촌계장은 “이미 지난번 화해 조정에서 끝난 일인데 전남도가 면허 갱신에 있어 조건부를 누락시켰다. 저번 분쟁에서 이미 진도는 신규 양식장 1,370ha를 개발해 주었는데 이제 와서 조건부 합의를 무시하는 것은 다 전남도의 무성의한 행정에서 비롯된 것이다. 뻔히 여러 차례 분쟁이 오간 지역임을 알면서도 그 해결을 진도와 해남에 넘기는 것은 분쟁거리를 던져놓고 방관하는 꼴이다”고 비판했다.
한편 만호해역 김양식장은 바다 경계라는 의미가 없을 때 송지어민들이 개척했다. 그러나 뒤늦게 김양식에 눈을 뜬 진도군이 소유권을 주장하며 분쟁이 시작됐고 조정결과 송지 어민이 개척한 만호해역 1만2,000ha 중 20%인 1,370ha만 송지어민들에게 면허권을 줬다.
현재 만호해역에서 김양식을 하는 송지어민은 174세대, 이중 어란주민들이 80%를 차지하고 있다. 만호해역 김양식장을 잃을 경우 어란주민들의 생계도 잃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