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닷가 쓰레기 문제, 인력 늘리면 가능

2021-01-25     해남우리신문

 농촌마을마다 쓰레기 분리수거함이 설치돼 있다. 또 폐비닐을 모을 야적장도 구비돼 있다.
 물론 마을마다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시설 때문에 농촌쓰레기는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어촌마을 바닷가에는 여전히 쓰레기가 쌓여있고 마을과 마을 경계인 해안가에는 쓰레기가 범람한다. 물론 해남의 바닷가는 아무리 치워도 쓰레기가 밀려오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그렇다고 손놓고 지켜만 볼 일은 분명 아니다.
 해남군은 현재 해양쓰레기를 감시하고 수거하는 환경지킴이 16명을 운영 중이다. 그러나 희망근로사업처럼 바다환경지킴이 수를 대폭 확대해야 한다. 또 희망근로자 일자리를 바닷가 쓰레기 문제로까지 확대할 필요가 있다.
 노인일자리사업도 우리마을은 우리가 가꾼다는 목표로 마을에서 선발할 필요가 있다. 마을주민 스스로 바닷가 쓰레기를 수거하고 감시하는 데로 확장해야 한다는 것이다. 바닷가에는 손으로 옮기기 힘든 대형쓰레기도 많지만 생활쓰레기도 엄청나다. 수거 가능한 쓰레기를 일상적으로 줍는 인력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것이다.
 바닷가 쓰레기는 의지만 있다면 일정부분 수거가 가능하다.
 먼저 해남 어디에 쓰레기가 산적 해 있는지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하다. 전수조사를 통해 쓰레기가 집중되는 곳의 감시체계와 수거를 위한 인력을 강화하고 이러한 쓰레기를 모을 육상 야적장도 늘릴 필요가 있다.
 사람들은 깨끗해진 곳엔 쓰레기를 버리지 않지만 그렇지 않은 곳은 한 순간 쓰레기 야적장으로 변한다.
 해남군은 2025년까지 스티로폼 부표 제로화를 목표로 친환경 부표 사용을 의무화한다.
 정부도 폐그물이나 폐부표의 자발적인 회수를 독려하기 위해 육상의 ‘빈 용기 보증금제도’ 같은 ‘어구·부표 보증금 제도’ 등 유인 장치를 도입하고 지자체, 공공기관과 함께 하천에 해양쓰레기 유입 차단막을 설치하는 한편, 하천변 쓰레기 수거 활동도 강화한다.
 또 ‘반려해변’, ‘바다문화제’ 등 국민과 함께하는 바다 가꾸기 사업도 확대한다.
 정부와 해남군이 바다쓰레기 감소를 중요 정책으로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어촌마을과 해안가로 밀려오거나 야적되는 쓰레기는 지자체의 몫이 크다. 바닷가 쓰레기를 일상적으로 줍고 감시 할 인력시스템을 고민할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