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대응센터 유치, 민관협력만이
해남은 전국 최고 농업군이라고 하지만 농업관련 정부산하 기관이 없다. 이유는 대도시 중심의 접근성 때문이다.
지난해 아열대작물실증연구센터도 장성군이 선정됐다. 그 이유도 접근성이었다. 현재 해남군은 기후변화대응센터 유치를 위해 행정력을 동원하고 있다. 이번에도 접근성이라는 암초에 걸리지 않도록 해남군의 그동안 준비정도를 들며 유치 타당성을 주장하고 있다.
모든 것을 접근성을 평가잣대로 둔다면 해남군에는 들어올 것이 없다. 그저 변방의 끝에서 1차적인 농업생산에만 국한된채 살아야 한다. 대도시 중심의 접근성은 지역균형발전에 있어서도 맞질 않는다.
코로나19를 맞으면서 화상통화와 화상 회의가 일상이 되고 있다. 그렇다면 기후변화대응센터도 굳이 대도시 인근에 둘 필요가 있을까. 특히 기후변화대응센터는 농업연구기관도, 교육기관도 아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업정책을 세우고 제시하는 것이며 기후변화에 따른 데이터를 축적해 향후 농업정책의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 굳이 대도시 중심의 접근성을 운운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에 해남군은 관련 부처를 찾아다니며 접근성 부분에 대한 타당성 부족을 연일 설파하고 있다. 또 접근성을 넘어서는 조건을 두루 갖추고 있다는 점도 피력한다.
기후변화대응센터는 정부의 2050 탄소중립정책과 맞물려 있다. 즉 기후변화에 대응키 위한 농업지원정책 등 농업의 페러다임을 바꿀 정책대안을 수립하는 것이다. 그러한 페러다임을 정책과 동시에 실제 실험할 수 있는 곳이 해남군이다. 또 기후변화대응센터는 농업생산물을 아열대 작물로 전환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탄소제로화를 위한 농업생산 방식, 유통방식마저 바꾸는 것이다.
아열대작물실증연구센터는 비록 유치에 실패했지만 기후변화대응센터는 해남에 유치될 수 있도록 민관의 협력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