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대응센터 해남에 와야 한다

2021-08-30     해남우리신문

 해남군이 정부산하 기관인 기후변화대응 공모전에서 전남도 후보지로 지정됐다. 1차 관문의 통과이다. 이번 전남도 후보지 지정에 해남군이 포함된 것은 지난해 농촌진흥청 공모한 아열대작물 실증센터 유치에 실패한 경험이 큰 몫을 했다. 당시도 해남군은 농관련 단체를 비롯해 범군민적 유치운동을 벌였다. 
그러나 접근성이라는 평가항목에 발목이 잡혔다. 변방 해남, 대도시권과 멀리 떨어져 있는 해남은 각종 정부산하 기관이나 기업 유치에 어려움이 따른다. 그러한 예를 아열대작물 실증센터 유치에서 맛본 것이다. 모든 것을 결정할 때 서울 중심, 대도시 중심이라는 사고가 낳은 산물이다. 
이에 해남군은 기후변화대응센터가 농업연구 및 교육기관이 아닌 정책을 수립하는 기관이기에 접근성은 의미가 없고 특히 코로나19로 인해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접근성은 의미가 없다며 전남도와 정부기관을 범방위적으로 설득해 왔다. 평가항목에 접근성을 제외해야 한다는 주장이었다. 그 주장이 받아들여졌기에 이번 기후변화대응 공모전에서 전남도 후보지로 지정된 것이다. 이젠 전북과 경남 등과 마지막 경쟁을 앞두고 있지만 접근성 항목이 제외되면서 해남군도 한번 해볼만한 경쟁에 뛰어들게 된 것이다.
노무현 정부 때부터 국가균형발전이 중요한 화두였다. 문재인 정부에서도 국가균형발전은 여전한 화두이다. 이는 지방분권과도 맞물려 있다. 대도시 중심의 사고는 땅끝을 변방의 아웃사이드로 묶어버린다. 이는 땅끝 해남사람들은 언제까지나 아웃사이더로 살라는 의미이다.
또 해남군은 접근성을 넘어서기 위해 기후변화대응센터가 들어설 부지도 일찌감치 삼산면 나범리에 마련해 놨다. 또 공모에 대비해 전국 최초로 아열대농업 육성 및 지원 조례를 제정했다. 해남군과 군의회도 기후변화대응 유치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해남은 전국 최대 농업군이다. 농업군에 농업관련 기후변화대응센터 유치 주장은 당연하다. 국가균형발전 차원에서도 당연한 주장이고 논리이다. 기후변화대응센터 유치, 다시 한번 힘을 모을 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