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형 탄소중립 정책 세워야 한다
탄소중립 정책이 구체화되면 산업뿐만 아니라 우리의 삶 자체에도 많은 변화가 온다.
탄소중립은 전 지구의 과제로 떠올랐고 반드시 지켜야 할 사안으로 자리매김된다.
해남군에 들어서는 국립 농업기후변화대응센터도 탄소중립 정책에서 나왔다. 농업분야의 탄소중립 정책을 제시하고 선도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탄소중립 정책은 농업 외에 임업, 어업, 교육, 서비스업 등 전 산업을 관통한다.
정부에서도 탄소중립 정책과 관련한 로드맵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해남군이 제시하는 탄소중립 정책은 기존에 진행해온 연장선에서의 정책이다. 정부의 로드맵이 제시되면 그에 맞춰 진행하겠다는 의미이다.
해남군은 정부의 각종 공모사업에 활발히 응모해 국비확보를 대폭 늘렸다. 고무적인 일이다. 그러나 국비확보에 목메는 군정은 수동적이다. 해남군을 어떻게 설계하고 나아갈 것인가에 대한 해남형 발전방향이 먼저 세워져야 한다. 탄소중립정책도 마찬가지다. 해남에서 실천할 해남형 탄소중립정책을 먼저 구상하고 장기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지금은 분권시대다. 분권시대의 힘은 스스로 자신의 미래를 설계하고 그 목표를 향해 뛸 때 나온다.
농업 기후변화대응센터가 해남에 건립된다. 이는 농업분야에 국한되지만 농업 기후변화대응센터 유치로 해남군은 농업분야의 탄소중립 정책의 모델이 돼야 한다.
해남에서 진행되는 농업관련 탄소중립 정책이 기후변화대응센터를 통해 전국으로 보급돼야 한다는 것이다. 여기서 더 나아가 전 산업분야의 탄소중립정책을 스스로 세워야 한다. 그럴때만이 농업 기후변화대응센터 유치 군으로 위상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탄소중립정책 관련 컨트롤타워가 필요한 이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