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인력, 민관기구 결성을 제안하며

2022-01-17     해남우리신문

 그동안 농촌인력 수급은 민간차원에서 이뤄졌다. 한국으로 들어오는 과정과 각 농가로 인력이 파견되는 과정이 모두 인력사무소 등 민간차원에서 이뤄진 것이다. 
그러나 농촌인력 문제는 공적 영역으로 끌어들여야 할 만큼 심각한 상황에 직면했다. 이에 해남군도 외국인 근로자들의 기숙사 건립을 위한 국가공모에 뛰어든 상태다. 
그동안 농촌 외국인 근로자 수급문제는 지자체 역할을 넘어선다는 인식이 강했다. 그러나 여러 지자체에선 다양한 수급방안을 찾아나섰고 또 실행하고 있다. 
지난 12일 해남군의회가 마련한 농촌인력 수급관련 정책 세미나에서 제기된 것도 공적 영역에서의 농촌일자리 지원센터 설립의 필요성이었다. 
또 민간이 함께 농촌인력문제 해법을 찾는 거버런스 구축이 제안됐다. 
해남군은 민선7기 들어 청년정책을 비롯한 지역소멸을 막기 위한 정책, 지역공동체 관련 정책 등을 민간위원회를 구성해 함께 풀고 있다. 농촌인력 문제도 마찬가지다. 해남군과 군의회, 농민단체들과 협력을 통해 다양한 안이 도출돼야 한다. 
또 해남군이 추진하는 농촌일자리 지원센터도 다양한 안이 도출된 속에서 운영돼야 해남형에 맞게 내실을 기할 수 있다. 
농촌일자리는 입체적으로 풀어야할 성격이다. 먼저 각 농가에서 필요한 일손 수요조사가 돼야하고 타국과의 협력, 또 도시민들을 유치할 온라인 플랫폼 구축, 숙박시설 마련 등 관련된 일이 너무 많다. 현재 해남군민 중에는 농촌인력 구축에 대해 고민하고 대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이들이 많다. 이들이 가지고 있는 대안 등이 한데 모여야 한다. 결코 농촌인력 문제는 행정 홀로 해결할 수 없다는 것이다. 다양한 안들을 집약해 실행하고 또 실행하면서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민간 거버런스 구축은 해남에 맞는 안을 찾자는 것이며 실행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문제점을 사전에 줄여 나가자는 의미이다. 이러한 준비없이 농촌인력 문제를 접근하거나 또 센터 등을 건립해 위탁했을 경우 실효성이 낮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