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월 해남 희생자 진실규명돼야 한다
해남은 광주오월항쟁 중 유일하게 향토사단의 발포로 민간인이 사망한 지역이다. 43년이 지나서야 진실이 수면위로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5·18 진상규명조사위 활동은 올해 12월로 마감된다. 하루빨리 진상규명이 이뤄져야 하는 이유다. 이번 조사위 활동이 끝나면 언제 또 조사가 이뤄질지 기약하기 힘들다.
그동안 해남오월항쟁 희생자에 대한 진실은 정치적인 이유와 향토사단의 비협조로 덮어져 왔다.
유일하게 일관된 증언을 했던 김덕수씨도 정치적 이유로 배신감을 안고 해남을 떠났다. 해남에서는 줄기차게 향토사단의 발포명령으로 희생자가 발생했다고 주장해왔다.
또 희생자가 4명 내지 7명이라는 주장이 제기돼 왔었다. 그러나 향토사단은 명령이 아닌 우발적 사건이라고 주장했고 사망자는 2명이라고 했다.
그러나 백야리 군부대 뒷산에서 유골 3구가 발굴되면서 사건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었다.
광주 청문회에서 김덕수씨가 그렇게 밝히고자 했던 진실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이다.
당시 해남대대장이었던 장윤태씨는 우발적 사고였다고 주장하다 최근 모 언론 인터뷰를 통해 시위대의 군부대 무기 탈취를 막고자 어쩔 수 없이 대응해야 할 경우 무릎 아래쪽을 쏘라고 했다고 진술을 번복했다.
그러나 당시 부상을 입었던 이들의 증언은 군대의 정조준 사격이었다. 또 항복하거나 도망가는 시위대를 향해 무차별적으로 사격을 가했다. 이러한 사격으로 가슴이나 복부를 관통당한 부상자들도 속출했다.
5·18 진상규명조사위 활동은 이제 7개월 남짓 남았다. 하지만 암매장지, 유해발굴, 수습 관련 조사 진척은 40%선에 머물러 있다. 5·18진상규명특별법에 따라 조사위는 조사에 비협조적인 사람을 대상으로 동행 명령장 발부, 과태료 부과, 압수·수색영장 발부 의뢰 등을 할 수 있다.
광주항쟁이 일어난지 43년 동안 해남오월항쟁의 진실은 꽁꽁 묻혀있었다. 백야부대에서 발굴된 암매장 추정 유골 발굴을 통해 해남오월항쟁의 발포명령을 누가 했고 또 몇 명이 희생됐는지에 대한 진실이 나와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