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권자 선택 폭 넓어진 총선
지역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후보를 원한다. 지금의 정치현실에 과감하게 맞설 후보를 원한다.
제22대 총선 예비후보 등록이 오는 12월12일부터 시작된다. 지역 정치권은 이미 총선 모드에 돌입했고 모임과 행사가 많아지는 연말연시 후보들의 대대적인 얼굴 알리기도 시작됐다.
각종 행사장에서 모임에서 후보들의 숱한 명함이 뿌려질 것이다. 선거 때마다 반복되는 흔한 풍경. 어찌보면 감동이라곤 전혀 없는 풍경이다.
이번 총선은 그 어느때보다 가장 많은 인물들이 출사표를 던졌고 정치 신인들이 많이 등장했다. 그만큼 선거도 활기를 띨 것이고 또 유권자들의 선택의 폭도 넓어졌다.
이는 지역의 정치지형이 조금 나은 방향으로 변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변화가 선거운동 방식으로까지 이어지길 기대한다.
예전과 달리 유권자들의 정치수준은 상당히 높아졌다. 이는 구태의연한 선거가 아닌 감동이 있는 선거방식, 생산적인 선거를 원한다는 것이다.
호남에서의 선거는 언제나 바람 선거였다. 민주당이든 국민의당이든 바람 선거로 호남을 장악했다. 이러한 선거풍토는 호남정치의 낙후성을 불러왔다.
물론 현재까지 출사표를 던진 이들 모두가 민주당 소속이기에 이번 선거는 특정 정당의 바람 선거이기보단 경선 과정에서의 과열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과열 조짐은 벌써부터 나타나고 있다.
정책선거를 원한다. 지역에 대한 발전 대안이든 한국정치를 바꾸겠다는 대안이든 철저히 정책을 제시하는 후보를 기대한다. 지역을 위해, 군민을 위해 어쩌고 하는 추상적 단어는 식상하다 못해 유권자의 자존심을 상하게 한다.
또 정책을 중심으로 움직이는 인물에게 투표를 해야 한다. 그래야 해남선거문화도 바뀌고 더 나은 후보를 국회로 보낼 수 있다. 제22대 총선, 선거운동에서부터 변화를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