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원이 다 결정…민주당 당원 주권시대 표방

도당위원장·당대표·최고위원도 결정 2년 후 지방동시선거 경선룰 관심

2024-07-22     박영자 기자

 더불어민주당의 권리당원 입김이 더욱 강화된다. 오는 7월 민주당 전남도당 위원장 선거에서 권리당원 표 비중이 90%를 차지한다. 
그동안 민주당 시·도당위원장 선출 시 대의원과 권리당원 표 비중은 50대 50이었다. 그러나 민주당은 당헌‧당규 개정을 통해 시·도당위원장 경선시 대의원 투표 20%와 권리당원 투표 80%를 합산해 당선인을 결정하기로 변경했다. 
권리당원 비율이 높은 광주·충남·전북·전남·제주는 권리당원의 비중을 90%로 정했다.
권리당원 표 비중을 대의원보다 획기적으로 높인 시·도당위원장 선거에 관심이 높은 것은 시·도당위원장이 지방선거에서 공천권 행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민주당은 또 오는 8월에 있을 당 대표 및 최고위원도 권리당원 투표비율을 종전 40%에서 56%로 끌어올렸고 대의원 투표비율은 30%에서 14%로 낮췄다. 권리당원 및 대의원 투표 합 70%를 제외한 30%는 국민여론조사로 진행한다. 최고위원 선거 1차 관문인 예비경선도 중앙위원 50%, 권리당원 50%로 확정했다. 
종전에는 중앙위원 100% 투표로 예비경선을 치렀다.
중앙위원회는 당대표와 원내대표, 최고위원, 국회의원, 지역위원장 등 800명 이하로 구성된 전당대회 수임기관이다. 
이로써 시도당 위원장과 최고위원, 당 대표도 권리당원의 지지가 있어야 당선되는 구조가 된 것이다. 
이는 당원 중심 대중정당으로서 민주당을 혁신하겠다는 이재명 대표의 뜻이 반영된 결과이고 이를 관철시키고 있는 조직은 더민주전국혁신회의다. 
원외 조직인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지난 6월1일 전국대회에서 국회의원 중심의 퇴행적 원내 정당을 거부한다며 공직후보자 직접 선출 제도화와 지구당 부활, 당원참여 공론토론회 상설화, 당원총회 일상화 등을 요구했다.
더민주전국혁신회의는 이재명 계열 원외 정당으로 사실상 민주당의 혁신을 이끌고 있다. 
민주당이 당원 주권시대를 표방하고 나선 것은 지난 제22대 총선에서 보여준 권리당원들의 힘 때문이다.
민주당 권리당원들은 제22대 총선 때 후보 경선에 적극적으로 참여, 대대적인 현역 물갈이를 시킨 바 있다. 
단순 민주당 지지에서 벗어나 자신의 목소리를 내며 정치에 적극 참여하는 양상으로 바뀐 것이다. 
민주당이 당원중심의 민주당을 표방하면서 2년 후에 있을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선룰에도 관심이 쏠린다. 
전국동시지방선거 현행 경선룰은 당원 50%, 일반군민 50% 여론조사를 적용한다. 그러나 민주당이 당원 정당주의를 표방하고 나서면서 경선룰도 당원 여론조사 비중을 높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방동시선거를 앞두고 당원가입 열풍이 불 수 있는 이유이다.
한편 민주당 전남도당 위원장 선거는 전남 현역 의원 10명 중 재선인 김원이(목포) 의원과 주철현(여수갑) 의원 간의 동서 대결이다. 
그러나 추대 형식으로 전남도당 위원장을 선출해온 전통을 존중해 상호 협의될 것이란 전망이다. 
광주시당위원장은 현역인 양부남(서구을) 국회의원과 원외 인사인 강위원 더민주전국혁신회의 상임대표의 경선이 치러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