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감축, 해남이 선도적 역할하자
정부 해양쓰레기 감축에 명현관 군수, 의지 밝혀
이재명 대통령이 최근 해양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강조하며, 해안 오염방지를 위한 국내 및 국제 공조체계 구축을 모색할 것을 지시한 가운데, 지난 9월15일 직원 정례회의에서 명현관 군수가 “해남군이 시행해 온 해양쓰레기 감축사업의 성과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향후 정부 정책에도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주문했다.
해남군은 2015년부터 이동식 차량을 이용한 폐스티로폼 감용기를 운영, 지금까지 160만개, 216톤에 이르는 폐스티로폼 부표를 처리했다.
해남군의 폐스티로폼 감용기 운용 정책은 SBS와 환경부에서 공동 주최한 2025년 기후환경대상 시상에서 종합대상을 수상한바 있다.
또 해남군은 총 660만개 양식장 스티로폼 부표 중 60%인 400만개를 친환경 인증 부표로 교체했고 오는 2032년까지 전체 부표 교체를 완료할 계획이다.
군은 친환경 부표 확대를 위해 국비 외에도 군비를 추가로 투입, 어업인 부담을 20%까지 낮췄다.
친환경 부표 지원율을 80%까지 높인 것은 전국 최초로, 가장 먼저 친환경 부표 100% 전환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이다.
특히 지난해부터 처음으로 실시되고 있는 어구보증금제 등 폐어구 회수에도 전국 최고의 성적을 거두고 있다.
해남군은 올해만도 통발어구 2만4,000여개를 반납하고, 어구반납 수매비 및 반환포인트로 1,600여만원을 지급했다. 어구보증금제는 어업인이 어구를 사용한 후 반환하면 보증금을 환불해 주는 자발적 회수 제도로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시행되고 있다. 2026년부터는 자망어구·식장 부표까지 확대 시행된다.
명 군수는 “해양쓰레기 문제는 정부 부처와 지자체, 국제적인 협업이 있지 않고서는 해결하기 어렵다”며 “농어촌수도 해남을 표방하고 있는 해남군이 해양쓰레기 해결에 대한 그동안의 노하우를 총동원해 선도해 나가자”고 의지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