쟁점 - 뜬섬 생태모델 민관이 함께 만들자
2010-10-01 해남우리신문
해남군이 뜬섬개발과 관련해 공동발전협의회를 구성하고 나섰다. 개답공사를 맡고 있는 농어촌공사도 농민 및 환경단체들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겠다고 나서 친환경적 뜬섬개발 가능성이 어느 정도 열리고 있다.
또한 환경운동가들의 보존 주장과 농민들의 개발이라는 주장을 놓고 지역사회가 이를 어떻게 풀어 나갈지도 실험대에 올랐다.
요즘들어 뜬섬이 지역사회 화두로 떠오른 것은 개답공사와 육지를 잇는 다리공사가 진행되면서 뜬섬의 생태적 가치가 훼손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이다.
현재 지역내에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뜬섬개답공사가 농민과 환경이 동시에 살 수 있는 방향으로 진행돼야 한다는 주장이 높다.
이에 공사를 맡고 있는 농어촌공사도 지역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반영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밝히고 있다.
농지면적을 최대한 줄이고 습지면적을 늘리는 것에서부터 용배수로 공사의 친환경적 개발로 조류생태환경을 살리겠다는 것이다. 또한 육지와 연계되는 다리도 농사차량 외에 출입을 통제하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음도 내비쳤다.
따라서 농어촌공사는 생태적가치가 매우 높은 뜬섬을 환경단체 및 농민들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 목표라며 제시된 대안에 대해서는 적극 수렴하겠다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
해남군도 지역민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겠다는 의사를 되풀이하고 있어 늦었지만 민과 관이 함께 뜬섬개발 방향을 잡을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 셈이다.
지난달 14일 환경운동가와 농민, 지역민들이 참석한 뜬섬 간담회 자리도 친환경적 개답공사가 진행돼야 한다는데 공감한 상태라 구체적인 대안을 가지고 토론을 할 경우 합의점을 찾을 가능성도 높다는 평가다.
죽음의 호수로 불리웠던 경기도 시화호도 공사를 놓고 환경단체와 수자원공사가 첨예한 대립을 했지만 갈등을 조정하면서 누구나 가고 싶은 호수로 만들었다.
비록 뜬섬도 당초 보존하겠다는 약속을 저버리고 농림부가 개답공사를 단행했지만 더 늦기 전에 서로가 조정과정을 통해 뜬섬의 가치를 최대한 살려내야 한다는 것이다.
박영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