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세 번째 원전 후보지 지정
2010-10-19 해남우리신문
지난 1980년 해남 황산 외입리 일원 72만평이 국토이용관리법에 의해 원자력발전소 건설 가능한 지역으로 지정 고시됐다.
당시 해남을 비롯해 전남 여천, 신안, 고흥, 보성, 장흥 등 전남지역 6곳과 경북 울진군 2곳, 강원도 삼척 등 9곳이 원자력발전소 건설가능지역으로 지정 고시됐다.
해남이 원자력발전소 건설 가능지역으로 지정 고시된 후 1989년 전남지역 핵발전소 30기 건설계획철폐공동투쟁위원회가 결성되면서 첫 반대투쟁이 펼쳐졌다.
1991년 해남군의회는 농수산업을 주산업으로 하는 이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태계를 파괴하고 주민 생존권을 박탈하게 될 핵발전소 건설을 중단할 것을 요구하는 원전건설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다.
이후 1996년부터 펼쳐진 핵발전소 건설반대 투쟁으로 해남은 연일 들끓었다. 핵발전소 건설 반대투쟁은 1998년 정점에 이른다. 전군민이 핵발전소 건설 반대서명에 나설 정도로 온 군민이 핵발전소 건설반대를 주장했다. 그해 11월 3일 해남공설운동장을 가득 메운 가운데 해남 핵발전소 건설저지 전남서남부 시군민 결의대회가 펼쳐졌다.
당시 결의문에서 군민들은 청정자연과 생존권을 위해 해남핵발전소 건설계획 철회를 주장했다. 군민들의 반대투쟁 결과 핵발전소 건설은 철회됐고 1999년 해남의 핵발전소 건설부지 지정이 해제됐다. 그러나 이후에도 핵발전소 건설은 끊임없이 제기돼 왔다. 이모 전 국회의원의 원자력발전소와 방사선 폐기물 처리장 유치 등이 검토된데 이어 지난 7일 해남이 원전 건설후보지역에 포함됐다는 사실이 알려졌다. 박성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