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수첩 - 박태정 기자

2011-03-08     해남우리신문

교과부의 절대평가 농촌학교 불이익 커


중고교 내신 평가 방식이 현행 9등급 상대평가에서 A(수)-B(우)-C(미)-D(양)-E(가)-F(낙제)의 6단계 절대평가로 바뀐다.
절대평가는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교과부) 장관 등이 현 정부 출범 때부터 강한 의욕을 갖고 추진해온 제도로 시행될 가능성이 높게 전망되고 있다.
고교 내신제도는 1996~2004년까지 절대평가 방식으로 진행되다가 각 학교별 ‘성적 부풀리기’가 문제가 되자 2005년부터는 상대평가로 전환됐다.
일선 대학이 입시에서 변별력 없는 내신 비중을 줄이려고 했기 때문이다. 2014년부터 절대평가를 도입하겠다는 교과부의 이번 결정으로 9년 만에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게 되는 셈이다.
절대평가 방식은 학교별 성적 부풀리기가 다시 재연될 우려를 안고 있어 내신 무력화라는 문제를 다시 불러올 수 있다.
각 대학들은 내신 변별력을 문제 삼아 논술과 같은 본고사를 다시 부활시킬 근거를 주기 때문에 결코 학생들에게 유리한 제도가 아니라는 점이다.
또한 고교 서열화도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도시권과 농촌 지역, 특목고와 일반고의 학력 차는 엄연히 존재하고 있는 게 사실이다. 절대평가로 특목고나 자사고의 내신 불이익이 줄어들면서 특정 상위대학에서의 특목고 출신 학생들의 독식현상이 심해진다. 전체 일반고 학생의 2.3%에 불과한 특목고 학생이 유명 사립대학의 입학사정관 전형에서 40% 이상을 차지하게 되는 것도 자명하다. 대학입시에서 특목고나 자사고가 유리한 위치를 선점하게 되면 교과부의 예상과는 달리 특목고 진학을 위한 사교육 시장이 다시 활성화될 것이다.
또한 해남처럼 농촌지역의 경우 도시권 고등학교에 밀려 명문 사립대 진학은 요원한 일이 될 수도 있다. 그동안 중학교 상위권 학생들이 해남관내의 고등학교에 진학했던 것은 그나마 상대평가 방식에 의해 내신 반영률이 높았기 때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교육 관계자는 “상대평가 제도에서는 과열 점수 경쟁과 사교육 부작용이 크다는 단점을 거론하지만 절대평가의 경우는 ‘성적 부풀리기’라는 문제점이 대두된다. 학교생활기록부에는 당분간 A·B·C 학점 외에 기존의 석차와 원점수 등을 함께 적어 대학들이 참고할 수 있게 하겠다고 했지만 대학이 이를 얼마나 반영할지 여부는 확실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전교생이 A학점을 받을 수도 있는 절대평가 제도에서 대학이 이 성적을 신뢰할 가능성은 적을 것이라고 했다.  
이처럼 절대평가 방식은 각 대학이 변별력을 문제 삼아 도시와 특목고생을 우대할 것이기 때문에 지방의 고등학교는 많은 피해가 예상된다.
일찌감치 중학교 때부터 특목고를 가기 위한 사교육이 성행하게 돼 공교육은 결국 무력화 될 것이라는 우려감이 증폭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