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인사, 관행 깨자
2012-07-02 해남우리신문
거두절미하고 능력 있고 활동적인 공직자가 군청 과장을 맡아야 한다. 그동안 군청 사무관 인사는 승진하면 읍면장으로 보내고 조금 있다 다시 군청으로 전보 발령하는 것이 관례였다. 그러다보니 젊고 활동적인 공직자는 읍면에서, 퇴직할 나이쯤 되면 군청 실과장을 맡게 된다. 이러한 관행이다보니 퇴직을 얼마 남겨 놓는냐에 따라 중요 부서장을 맡은 게 당연시 된다. 이러한 인사는 결국 군정의 활기를 잃게 만든다. 공무원 인사에서 승진도 중요하지만 이에 못지않게 전보인사도 중요함을 강조하고 싶다.
사람들은 자신의 눈높이에 따라 정책을 결정하기 마련이다. 아무리 공직경력이 길다고 하지만 눈높이가 낮은 사무관이 부서장을 맡았을 때 그 부서의 업무는 항상 그 수준에서 머물게 된다. 이번 인사에선 이러한 틀을 깨자는 것이다.
과감한 인사를 단행하길 바란다. 실과장에서 정년하는 관행도 깨야한다. 실과장은 활동적인 사무관으로 인사를 단행하고 정년을 앞둔 이들은 읍면장으로 전보하는 인사를 해야 한다. 관행은 깨지기 마련이다. 누가 깨느냐가 문제일 뿐이다. 이번 인사에서 그러한 관행을 깨길 바란다.
6급 인사도 마찬가지다. 물론 전 부서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지만 군정의 방향에 따른 중요부서는 있기 나름이다. 어디 부서가 중요하고 힘을 실어줘야 할지 판단을 한 후 그 자리부터 인물을 배치하면 된다.
100점짜리 인사는 없다. 아무리 인사를 잘해도 뒷이야기는 나오기 마련이다. 그러나 핵심을 짚어내는 인사는 많은 이들의 공감을 산다.
인사에 있어서 연공서열, 승진에서뿐 아니라 읍면장과 실과장 전보 인사에서도 이 관행이 적용되고 있다. 박철환 군수의 임기 반이 지났다. 나머지 임기동안 활기찬 군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이번 인사가 중요하다. 관행을 깨는 인사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