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북평 해안가~땅끝~우수영~목포로 이어져
정부 지시만 따른다면 제2 자전거 도로될까 우려
국토순례 시발지이라는 땅끝 랜드마크 선점 필요

▲ 정부의 코리아둘레길 사업이 가시화되면서 국토순례 출발지인 땅끝을 낀 해남이 주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땅끝에서 출발한 국토순례단)

정부의 코리아둘레길 사업이 가시화되면서 국토순례 출발지인 땅끝을 낀 해남이 주도적으로 준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지난 12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관계부처와 각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코리아둘레길 사업설명회가 있었다.
이날 문화체육관광부는 사업설명회를 통해 현재 조성돼 있는 동해안의 부산-강원 고성 770㎞ 해파랑길과 비무장지대 접경지역의 평화누리길, 서·남해안의 해안누리길 등 기존에 조성돼 있는 걷기 길을 하나로 연결, 한반도 둘레를 잇는 4500km를 걷기여행길로 만든다는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특히 남해안과 서해안길은 신규로 개척키로 한다는 내용도 발표했다. 이에 해남은 강진에서 목포를 잇는 중간 가교 역할을 하며 이로 인해 우수영 인근 해안길에 새로운 둘레길이 조성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해남군은 위치적으로 서남해안을 끼고 있고 ‘땅끝’이라는 대표적 브랜드가 존재한다. 수많은 매체에서는 해남을 ‘희망’, ‘출발’, ‘여행의 종착’등의 이미지로 각인하고 있고 이는 코리아둘레길 사업의 핵심 장소로 부각시킬 수 있는 구심점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같은 의지는 행정의 역량에 따라 결정된다.
우수영의 한 주민은 “없는 이야기도 만들어 문화자원으로 활용하는 시대다. 정부에서 코리아둘레길의 이야기가 나옴과 동시에 해남군이 먼저 해당사업에 따른 시너지를 계산하고 이점을 선점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가져야 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해남군은 조용한 입장이다.
해남군 관계자는 “전체사업이 100억원 내외라는 이야기만 나돌 뿐 아직 확실한 사업계획이 드러나지 않았다”며 “예산과 구간 등 구체적인 윤곽이 나와야 사업계획을 세우는데 아직까지 두루뭉술한 이야기만 나오니 계획수립에 어려움이 따른다”고 말했다. 이어 100억원 미만으로 측정된 예산도 걸림돌이라는 것이다.
정부는 기존에 존재하는 길을 잇는 사업이기 때문에 적은 예산으로 많은 효과를 얻는 친환경사업이라고 언급하고 있지만 우수영 바닷가 일대만 조성하는데도 100억원 이상이 소요될 것이라는 주장이다. 자칫 형식적인 줄긋기에 머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군민들은 아무리 깜깜이 사업이라 해도 스토리텔링과 랜드마크 선점을 통해 코리아둘레길 사업의 최대수혜자로 가야한다며 정부발표 이전에 해남군이 가닥을 잡아가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같은 주장은 이명박 정부의 대표적 실패 사례인 자전거도로의 학습효과 때문이다. 당시 정부는 자전거도로가 완공되면 지자체마다 수십억에서 수백억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대대적인 홍보를 했다. 하지만 결과는 참담했다. 자전거도로 사업은 정권이 바뀌면서 흐지부지됐지만 해남만 보더라도 정작 자전거 도로가 필요한 곳은 제외되고 우슬재에 자전거 도로가 생기는 등 숱한 비판을 받았다. 관계부처가 지자체의 현실을 무시한채 탁상에서 전국을 줄로 긋는 결과가 낳은 실패였다. 이 같은 절차를 밟지 않기 위해선 지자체의 목소리가 요구된다.
정부 사업에 ‘울며 겨자 먹기식’으로 따라만 가선 안 된다는 것이다.
특히 해남은 국토순례 시발점이기에 이 점을 살려 해남에 필요한 걷기 길이 탄생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