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성훈(해남청년문제 연구소장)

최순실 문화계 농단에서 빠질 수 없는 것이 블랙리스트일 것이다. 블랙리스트 작성과 관련 유무에 관해선 많은 매체들이 다루고 있다. 여기에서는, 왜 그들이 소프트파워(언론, 문화, 교육) 중에 문화에 각별히 편집증적 히스테리를 부렸는지를 살펴보고, 해남의 문화행정 방향을 생각해 보려고 한다. 
먼저, 우리가 바라보는 문화라는 것은 무엇일까.「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등을 써 온 최준식 교수는 ‘한국 문화의 몰락-대반전을 위한 마지막 고언’에서 경제적·물질적으로는 성공했지만 문화는 유치할 정도로 유아적이며 전근대적인 낙후를 면치 못하고 있는 현실을 비판했다. 특정한 시간에 특정한 장소에 관객이 가서 즐긴다는 공연 중심적 사고를 벗어나지 못하는 한계를 지적하기도 했다.
채널 A에서 방영하는 ‘외부자들’에서 정봉주 전 의원은 박근혜 정권의 문화계 블랙리스트 집착에 대해 ‘아버지 박정희의 데자뷰’라고 확신했다. 이어 “박정희 때 이미 영화 검열을 하고 언론통제도 했다. 이것을 전문적으로 했던 사람이 김기춘이었다”며 “아버지가 한 것을 다시 김기춘이 실행해 교육, 언론, 문화를 잡으려 했다. 방송사에 낙하산 인사, 국정교과서를 집필했고 문화는 사회 전반을 장악하는 도구였다”고 갈무리했다.
지금 광화문 캠핑촌에서는 블랙리스트라는 정부의 전근대적 예술 검열에 대해 ‘예술의 공공성’을 외치고 있다. 그러면서 일각에서는 프랑스의 ‘앙떼르미땅 제도’에 대해 고심하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앙떼르미땅 제도’란 예술노동자의 복지를 위한 실업 급여제도를 말한다. 예술인들이 10개월 반 동안 507시간 이상의 예술 활동을 충족시키면 최대 8개월간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다. 2015년에 있었던 배우 김운하, 배우 판영진이 생활고 때문에 싸늘한 주검으로 세인들에게 발견된 것을 떠올려 본다면, 우리 사회가 고심해 볼 만한 제도이다.
각설하고, 지금 해남군은 문화예술에 대해 어떤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가. 단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관련 조례라고 생각이 들었다. 국가법령정보센터를 통해 ‘해남군 문화’라는 키워드로 검색을 해봤다. ‘해남군 문화예술진흥 및 기금운용관리 조례’, ‘해남군 문화예술진흥 및 기금운용관리 조례 시행규칙’, ‘해남군 문화예술회관 설치 및 관리운영 조례’, ‘해남군 문화예술회관 운영 시행규칙’이 조회됐다.
이 중 ‘해남군 문화예술진흥 및 기금운용관리 조례’ 제1조가 ‘이 조례는 문화예술진흥을 도모하고 군민의 문화예술 활동 지원을 위해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돼 있다. 모든 것이 완벽할 수는 없겠지만, 문화예술 진흥을 도모하고 군민의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시급히 해야 하는 것이, 인재 육성 방안의 고안이다. 해남에도 많은 문화단체들이 있다. 그런데 이 단체에 2~30대가 거의 없다. 청년층의 활동이 없다고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서울시는 2017 예술인 플랜 일환으로, 서울 시내 초등·중학교에서 예술교육을 할 ‘서울형 예술가교사’ 230명을 모집한다는 기사가 올 초에 떴다. 서울문화재단은 인문·예술 관련 대학 졸업자와 예술교육 현장 경험자, 예술창작 경력자를 대상으로 모집해, 초등학교 방과후와 학급 수업 시간, 중학교 정규교과 시간에 예술교육 프로그램이나 인문과 예술을 연계한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한다.  
문화인력을 외부에서 끌어와 공연 때 잠깐 별이 빛나듯 하는 것이 아니고, 지속 가능한 인재를 길러내, 그들이 향후 지자체 내에서 문화적 기량을 펼치게끔 육성하겠다는 취지로도 해석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것은 또한 지자치가 고심하는 일자리 창출과도 관련된 부분이기도 하다.
나비효과처럼 생각해 본다면, 올바른 문화행정 정책에 대한 고심이 청년이 돌아올 수 있는 밀알을 제공할 수 있지 않을까.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