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도시에선 로컬푸드 활성화 차원에서 어린이집이나 지역아동센터를 대상으로 실시하던 친환경 무상급식을 모든 공공급식으로 확대하고 있다. 특히 서울시는 올해 6개 자치구를 대상으로 본격적인 시범사업에 들어가 친환경먹거리 판로확대가 여느 때보다 기대되고 있다.
이에 많은 지자체에서도 친환경 급식센터를 공공급식센터로 확장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최근 문재인 정부도 서울시의 공공급식센터를 통한 도농교류 활동을 적극 벤치마킹하는 등 농업정책의 중심에 ‘안전한 먹거리’를 부각시키고 있다. 
이에 농업비중이 높은 지자체들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연결하는 기초단위인 공공급식센터 운영방안에 대한 논의와 이에 따른 적극적인 설립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정작 농군으로 유리한 위치에 있는 해남군은 여론만 무성할 뿐 어떠한 움직임도 보이지 않고 있다. 

 군수 공백 탓만 할 뿐, 사실상 책임지고 사업을 추진하는 주체가 없기 때문이다. 해남군과 의회, 민간업체마다 각기 다른 형태의 공공급식센터를 구상하고 있다. 공통점은 관광객 유입의 편의성, 편리한 교통, 넓은 공간 정도다. 예산과 규모, 운영방식을 놓고 의견만 분분하다.  
로컬푸드센터, 학교급식, 공공급식센터 등은 지금 당장 의견이 모아져도 수년이 소요되는 사업이다. 행정력이 부족하면 인원을 보충하고 구상이 다르면 의견을 타진해야 하는데 해남군의 추진상황을 보면 느긋함마저 느껴진다.
공공급식으로 하루 소비될 측정치는 1200만~1400만 식으로 국민 총소비량의 9%를 차지한다는 보고서가 나온 바 있다. 

 식량 자급률 24% 수준의 농업시장에서 보면 엄청난 규모이다. 
특히 가족농 중심의 친환경 먹거리를 생산하는 농가, 즉 대농이 아닌 친환경 농산물과 같은 소농중심의 농작물의 경쟁력이 확보된다는 이점도 있다. 
갈수록 줄어드는 해남군의 인구, 더욱이 경쟁력을 잃어가는 해남의 농업경쟁력 등을 고려한다면 하루빨리 의견이 모아져야 하지 않을까.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