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유입보다 청년이탈 막아야 
지자체도 청년정책에 눈돌리자  

 

 해남군의 청년 유입정책보다는 청년의 이탈을 막는 정책이 우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해남군 청년 인구 감소는 5년 평균 10.4% 감소, 동기간 전체 인구 감소율 3.9%의 두 배를 훨씬 넘어선다. 특히 20대 감소율 7.6%보다 사회활동이 왕성한 30대, 즉 자녀교육과 연관된 청년층의 감소가 12.9%로 가장 심각한 상황이다.
특히 타지에서 전입해온 청년거주자가 20%대인데 반면 해남이 고향이면서 타지에 나갔다가 돌아온 거주자는 10.1%에 불과하다. 
타지에서 돌아온 청년들도 직장으로 인한 귀향이 62%로 대부분을 차지했고, 농사를 짓기 위해서 돌아온 경우는 4.8%에 불과했다.
타지에서 해남으로 귀촌을 희망하는 이보다 해남을 떠난 이들이 돌아오는 경우가 더 희박하다는 것은 무척 비관적인 상황이다.

 고향이라는 이점에도 불구하고 타 도시에 비해 매력을 느끼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청년 세대의 삶에서 가장 크게 작용하는 꿈과 희망을 채울 수 없는 환경에서 비롯됐다.
기존세대와 노인에게 집중된 복지정책과 청년들을 위한 문화시설의 미비, 그 흔한 영화관 하나 없는 곳에 어떤 청년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느냐의 문제다.
단지 문화적 혜택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청년들이 떠나지는 않는다.
해남에서 나고 자라면서 지역에 대한 희망이 없기 때문이다. 
해남 청년 가구의 월평균 총소득은 약 320만원으로 전국 가구 월평균 소득 453만원과 현격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낮은 소득 수준임에도 대도시에 비해 별 차이 없는 주거비용도 청년들의 이탈을 부추기고 있다. 부모로부터 독립하지 못하는 ‘캥거루족’ 비율도 33.9%로 1/3이 부모의 그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현실이다.

 거주문제만 해결돼도 상당수 청년들이 해남에 정착할 수 있다.
물론 거주문제도 해남군의 노력만 있으면 얼마든지 해결 가능한 부분이다. 최근 청년들의 주거빈곤율을 낮추고자 청년공동임대사업을 통한 1인 주거공간을 마련하는 지자체가 있는가 하면 활동의지가 있는 청년에게 매월 50만원을 지원하는 사업도 있다. 
대도시조차 청년의 이탈을 막고자 이 같은 노력을 기울이는데 해남군의 정책마련은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이렇다면 이러한 청년들의 문제가 단지 지금의 청년들에게만 국한되는 것일까. 
현재 해남군에 거주하는 초등학생들과 중고등 학생들에게서 해남지역에 대한 자긍심 또는 애착심을 가질 만한 요소가 있을까? 아니면 이들의 이탈을 막을 수 있는 정책의 변화는 모색되고 있을까? 심각하게 고민해봐야 한다.

 이미 많은 유소년들은 부모세대로부터 해남의 열악한 환경을 답습하고 있다. 교통의 발달로 목포나 광주에서 쇼핑을 하고 외지로 영화를 보러 가는 일은 이제 이야깃거리도 되지 못한다.
해남의 자긍심을 키울만한 요소가 부족하다 보니 도시로의 청년이탈을 막을 길은 더없이 부족해지고 있다. 
이미 오래전부터 청년이탈 문제는 군단위 지자체의 존립을 위협할 수 있다는 보고도 심심찮게 보고돼 왔다.
여전히 복지 불균형은 심각하고 예산의 대부분은 기존복지의 유지 또는 토목공사에 쓰이고 있다. 
청년인력의 부족은 외국인노동자의 기하급수적인 증가와 전문인력 부제라는 또 다른 문재를 파생하고 있으며 농어업의 세대교체에도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청년의 이탈은 단지 인구가 빠져나가는 단순한 차원의 문제가 아닌 해남군의 내일을 담보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다. 
청년인구의 감소로 청년의 목소리가 높지 못하다. 어느 때보다 어른들의 지혜가 필요한 시점이다. 단순 내 자신이 아닌 자식세대를 위한 심도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