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를 선두로 지자체가 약속이나 한 듯 공공와이파이를 구축하는데 열심이다.
이미 전국의 주요터미널, 도서관, 박물관, 지하철, 관광지, 체육시설 등 사람이 잠시 머무른 곳은 무료 와이파이를 쓸 수 있다. 
지난해 전국 개방형 와이파이는 25만 개에 이르렀다. 이동통신사가 운영하는 40만 개 중 65% 달하는 수치다. 
여기에 각 지자체도 앞다퉈 공공와이파이존을 설치하고 나섰다. 가장 먼저 와이파이존을 구축하기 시작한 것은 서울시다. 1000만 시민의 스마트 라이프 시대를 열겠다는 구성과 함께 2020년까지 4600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가 구상하는 스마트 시티는 단순 무료 인터넷에 국한된 사항이 아니다. 주차장의 빈자리나. 학생들의 등하교, 치매 노인의 이동정보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기술을 실생활에 접목시킨다는 계획이다. 장기적인 안목으로 전 구역을 디지털화하는 사업인 것이다.
해남군의 공공와이파이 설치문제로 논란이 되고 있다. 
필요한 복지인가 아니면 디지털시대를 도모하기 위한 기반시설이냐는 문제다. 특히 아이들의 스마트 중독을 걱정하는 학부모와 통신비 절감을 위한 단순한 행정서비스 개념이라는 이해관계가 상충되고 있다.
디지털 사용량이 많은 경우 개인당 통신료 기본요금은 5~10만원을 육박한다. 넉넉한 데이터를 쓰기 위해서는 가구당 최소 10만원 이상이 지출된다. 
그렇다면 무료와이파이가 설치되면 통신비가 과연 절감될까. 통신비가 절감 될 정도로 혜택을 받는 주민은 해납읍에 거주하는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또 무료와이파이 존에 생활한다 하더라도 장거리 이동이나 출장 등으로 인한 데이터 손실은 보장할 수 없다.. 
데이터를 많은 쓰는 가정에서는 이미 가정 내 와이파이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가장 많은 혜택을 받는 이가 누굴까. 바로 아이들이다. 데이터 제한으로 이제껏 누리지 못했던 수많은 영상자료를 접할 기회가 생기기 때문이다.
실생활의 편리를 위해 구축돼야 할 스마트 시설이 단순 스마트 중독을 부추길 우려가 크다는 것이다. 공공와이파이를 통해 얻는 것은 무엇인지, 또 잃은 것은 무엇인지, 또 부작용에 대한 기초적인 대안은 있는지. 묻고 싶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