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경험한 겨울 적조
막을 방안 없어 막막

김양식장에 이어 다시마 양식장까지 확산되는 황백화 현상으로 피해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명현관 군수도 연일 피해현장 점검에 나서고 있다. 
김양식장에 이어 다시마 양식장까지 확산되는 황백화 현상으로 피해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있는 가운데 명현관 군수도 연일 피해현장 점검에 나서고 있다. 

 

 김양식장에 발생한 황백화 현상으로 피해액이 162억원을 넘어서는 가운데 다시마 양식장까지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송지, 화산면 해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다시마 엽체 녹음 및 탈락 현상 피해규모는 8일 기준 3개 어촌계 152ha(4,430줄), 8,800만원으로 조사됐다. 
다시마의 황백화 현상도 김 피해와 같이 식물성 플랑크톤(규조류)의 대량 발생에 따른 것으로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종자육종연구소 및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과의 합동조사가 진행 중이다. 
군내 다시마 양식시설 현황은 1,019ha, 3만9,934줄 규모로 240어가 대부분 전복 먹이용으로 자가소비하고 있으며, 고품질 전복 생산을 위해 군에서도 우량 다시마 4,000태, 곰피 450태 총 1억3,8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한 바 있다.
앞서 발생한 김 황백화의 피해규모는 8일 기준 29개 어촌계, 2,980ha(5만7,479책)에 피해 규모도 162억1,174여만원으로 집계되고 있다.
겨울철 김수확기에 발생한 황백화 현상으로 피해규모가 갈수록 커지자 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관계기관의 발길이 다시 해남 바다로 향하고 있다. 
국립수산과학원 수산종자육종연구소 및 전라남도 해양수산과학원, 전남도 관계자들의 합동조사가 연일 이뤄지고 있고 피해 지원책을 찾기 위해 윤재갑 국회의원을 비롯한 김영록 도지사, 수협중앙회장 등의 방문도 이어지고 있다. 명현관 군수도 김양식장에 이어 다시마 양식장 피해현장을 연일 찾고 있다.  
김양식장의 황백화 현상은 조사결과 규조류에 의한 적조 발생으로 나타났지만 겨울철에 그것도 해남에서만 이러한 현상이 발생한 것에 대해선 아직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다. 
또 김 양식장에 이어 다시마 양식장을 휘젓고 다니는 적조를 막을 방법은 사실상 없다는 점이다. 
적조현상을 일으키는 규조류는 집단으로 떠돌며 바다에서 영양을 섭취하는데 현재 그 영양분을 김과 다시마에서 찾고 있다. 폭설이 내리거나 큰비가 내리지 않는다면 김과 다시마 양식장의 피해는 갈수록 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