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청 앞 군민광장에 세워진 남천교 중수비와 청류정, 어성교 중창비석의 전남도 문화유산 지정이 추진되고 있다.
군청 앞 군민광장에 세워진 남천교 중수비와 청류정, 어성교 중창비석의 전남도 문화유산 지정이 추진되고 있다.

 

 해남다리 중 가장 아름답고 웅장했던 남천교(홍교) 중수비와 홍교 밑을 흐르는 맑은 물을 찬양한 청류정 비석의 도지정 문화유산 지정을 추진하고 있다. 
여기에 어성교 중창비와 우수영 방죽샘과 중수비도 함께 추진된다. 이들 문화유산은 역사적 기록과 조형적 가치가 뛰어나 이미 전문가들로부터 문화유산 지정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남천교(홍교) 비석
기록유산 가치 높아

해남읍성 남문 밖에 있던 해남천은 조선시대 때 남천이라 불렀다. 남천은 물길이 급해 홍수가 지면 건너기 어려웠고 이에 놓은 돌다리가 남천교였다. 
그런데 1778년(정조2년) 여름에 홍수로 인해 다리가 유실되자 1781년(정조 5)에 무지개 모양인 홍교로 중수했고, 이 중수에 대한 기록을 남천교 중수비로 남겼다. 
또 이 일대 경관이 아름다워 청류정 비석도 세웠다. 남천교(홍교)와 청류정은 홍교유수(紅橋流水)란 이름으로 해남팔경(海南八景)에 포함, 조선시대 해남에 오면 반드시 들러야 하는 해남 대표 경관지였다.    
‘남천교중수기(南川橋重修記)’와 ‘청류정’ 비석은 해남천과 해남 주민들의 대표적인 생활사 유산이다. 또 남천교 중수비엔 다리의 중수과정과 시기, 참여인, 대흥사의 승려 장인들도 참여한 기록들이 남아있어 기록유산 가치가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어성교 중창비석
해남팔경에 포함

‘어성교 중창석비(漁城橋 重創石碑)’는 조선시대 어성교를 중창한 기록을 적은 유적비로 1747년(영조 23)에 세운 비석이다. 원래 삼산면 어성포 어성교 곁에 세웠는데, 삼산면 송정마을로 옮겨져 있다가 지금은 해남군청 앞 군민광장에 있다.
어성교는 ‘남포귀범(藍浦歸帆)’이란 이름으로 해남팔경에 포함돼 있다.
또 어성천과 어성교 지명은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고 어성교 중창석비는 건립 연대와 건립 주체가 자세히 기록돼 있다는 점에서 학술적 가치가 높은 금석문에 포함된다.  

우수영 방죽샘
전남서 가장 연대 빨라

우수영에는 지금도 방죽샘이 보존돼 있다. 
전라남도에 실제 남아 있는 우물 중 가장 연대가 빠른 우물이다. 
방죽샘 주변에는 5개의 우물중수비가 세워져 있다.
 1724년, 1752년, 1804년, 1907년, 1948년에 중수할 때마다 시주와, 감독, 감역, 화주 등 직임과 인명이 기록돼 있다. 
방죽샘은 관에서 조성한 우물이라 조성 및 중수 시기를 알 수 있는 명문이 남아 있어 학술적, 역사적 가치가 큰 우물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