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원직과 광역자치단체장이라는 두 가지 떡을 양손에 들고 저울질 하겠다는 것인가.
전남도지사에 출마의사를 밝힌 인사 대부분이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이다. 당연히 국회의원직을 사퇴해야 한다.
유권자들의 입장에선 국회의원으로 그들을 선출했다. 그러나 자신의 정치적 야망때문에 국회의원 직을 잠시 놔두고 도지사선거에 뛰어들었다.  
6․4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예비후보 등록신청이 시작됐다. 예비후보에 등록하려면 의원직을 내려놓아야 한다.
그러나 현역 국회의원들 중 과연 의원직을 내려놓고 예비후보로 등록할 이들이 있을 것인가.
물론 국회의원이라는 현역의 프리미엄이 예비후보로 등록해 뛰는 것보다 훨씬 높다. 그 점을 십분 이해한다고 해도 유권자들에 대한 도의상 국회의원 직을 사태해야 한다.
민주당도 문제이다. 민주당은 지방선거에 출마하고자 활동하고 있는 국회의원의 경우 당내 경선에서 공천 후보자로 최종 확정되기까지 의원직 사퇴를 자제해 달라고 한다.
정치개혁을 주창하고 나선 민주당은 여전히 속을 차리지 못하고 있다. 광역단체장 후보로 나선 이들이 사퇴하지 않겠다고 해도 사퇴를 종용해야 한다.
아니면 현역 신분에 타 선거에 출마할 경우 과감해 경선에서 탈락시키는 등의 불이익을 줘야 한다. 지금의 상황은 현역 국회의원 너도나도 광역단체장에 출마하는 현상만을 키우고 있다. 호남에서 안철수 신당의 바람은 이러한 민주당에 실망했기 때문이다.
현재 6·4 지방선거에서 광주시장과 전남도지사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소속 국회의원들이 의원직 사퇴 의사를 잇따라 표명하고 있다. 표명만 할 것이 아니라 실천으로 옮겨야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치열한 당내 경선을 앞두고 국회의원직 사퇴 카드로 배수진을 쳤다는 꼼수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
그동안 공천에서 탈락한 국회의원은 국회의장이 사퇴서를 가지고 있다 반려하면 의원직을 유지하는 경우가 관행적으로 이뤄져 왔다. 공천에서 탈락하더라도 의원직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지사가 되면 더 좋지만 안되더라도 국회의원 직이 유지되는 길, 유권자은 허탈하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