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성태(해남우체국장)

전화나 인터넷 등 전기통신수단을 악용한 금융사기를 뜻하는 보이스피싱은 그 기법도 상당히 교묘해져, 혹시 나도 전기통신금융사기(이하 금융사기)를 당하지 않을까 걱정하는 국민들이 점차 늘고 있다. 
지난 수년간 우체국에서는 보이시피싱 피해 예방에 앞장서 국민의 금융재산을 지키는데 큰 기여를 했으나 보이스피싱 사건·사고는 날로 지능화되고 있다.
금융사기 심각성은 점차 전국으로 확산되고 피해 건수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금융감독원 발표 자료에 의하면 지난해 금융기관 대포통장 피해 건수가 2만 여건에 달하고 피해액도 1400억원에 이른다. 올해 들어서는 2만6000여 건에 1700억원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돼 특단의 예방 조치가 절실한 실정이다.  


이에 지난 9월 전국 우체국이 동시 ‘대포통장과의 전쟁’ 선포식을 갖고 대포통장의 범죄 수법과 악용에 따른 피해 사례 등을 알리는 거리캠페인을 펼쳤다. 대포통장은 불법으로 타인에게 양도되거나 타인의 개인정보로 불법 개설돼 보이스피싱, 대출사기 등에 사용되는 통장을 일컫는다.
대포통장은 보이스피싱 사건·사고의 금융사기 매개체 역할을 한다. 보이스피싱이 금융사기 행각의 시작이라면 대포통장은 돈을 가로채는 마지막 단계라 할 수 있다. 때문에 대포통장이 근절되면 당연 금융사기는 원천적으로 막을 수가 있다.


올해 우체국에서 개설돼 대포통장으로 악용된 계좌의 98.9%는 ‘신규 또는 휴면고객’이며, 99.7%는 현금 체크카드를 동시에 발급받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와 같이 각종 금융범죄의 수단으로 악용되는 대포통장 사전 방지를 위해 우체국에서 통장개설 절차를 강화한다. 계좌개설 목적이 불명확한 경우나 의심거래자 유형(금감원 제시/ 10개 유형 90개 항목)중 주요 의심거래 유형으로 ▲제3자를 동행해 통장발급을 요청하는 경우 ▲연락처 정보 및 자택, 직장 등 본인의 주소지를 잘 모르는 경우 ▲단기간 다수계좌 개설 및 과거 대포통장개설 이력이 있는 경우 등에 대해서는 통장개설이 금지된다. 또 새로 개설되는 신규통장이 대포통장으로 악용되는 것을 최대한 봉쇄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는 대포통장이 근절되지 않으면 우리 모두가 잠재적인 피해자이거나 범죄자가 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기인한 부득이한 조치인 만큼 국민 모두의 양해와 협조가 필요하다.


이밖에도 국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우체국에서는 대포통장 경보제 시행, 금융감독원 및 타금융기관 등과의 정보공유 강화, 매월 3번째 수요일 대포통장 근절 홍보의 날 운영 등 대포통장이 근절될 때까지 전사적 노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설마하고 팔아넘긴 대포통장 피해자는 온 국민이 될 수 있다. 금융사기의 주범인 대포통장을 만들거나 사용하는 일은 명백한 범죄행위이기에 대포통장 근절에 국민 모두의 관심과 동참을 바란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