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철환 군수는 2010년 군수로 당선된 후 마산 뜬섬을 보존해 람사르 논습지로 지정할 의향을 내비쳤다. 최근 해남군이 마산 뜬섬을 해남군에 무상임대해 줄 것을 농어촌공사에 의뢰하고 나섰다. 이곳을 생태보존지구로 만들겠다는 의지에서이다. 박 군수가 약속했던 날로 5년만이다.
그동안 정부에서도 뜬섬의 가치를 인정해 농지조성을 유보하고 갈대가 무성한 섬 주변과 일부지역에 대해 자연생태를 보전하겠다는 입장을 거듭해 왔다.
또 이곳을 자연이 숨 쉬는 친환경지역으로 보전하겠다며 습지조성과 철새 서식이 가능한 곳으로 조성하겠다는 입장도 되풀이 했다. 그러나 정부가 뜬섬에 대한 개답공사와 다리공사를 진행하면서 환경단체의 반발을 불러왔고 생태지구로 조성하는 것은 요원한 일로 여겨졌다.
다행히 최근 해남군이 뜬섬을 친환경농업지구로 만들겠다며 일반 영농법인이 아닌 해남군에 무상 임대해 줄 것을 요구하고 나섰다. 물론 개답공사가 이미 완료돼 원시적 생태지구로 만들기에는 형태가 너무 변해 버렸다.
뒤늦게나마 해남군이 이곳의 생태를 보존하고 대체습지를 조성해 희귀 철새의 서식 공간 확보와 황새와 같은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업을 한다고 나선 점은 환영할 일이다. 뜬섬이 생태환경 복원의 모델로 되기 위해선 이곳을 친환경 농업단지로 만들고 논습지 공원을 조성해 람사 논습지 지정을 받으면 세계적인 인공섬 습지로 발돋움 할 수 있다.
농식품부는 산이면 간척지를 대규모농업회사에 무료 임대한 바 있다. 그곳의 면적에 비하면 마산 뜬섬은 작은 땅이다. 해남군의 장기무료임대 요구를 들어줄 명분이 있다.
해남군이 밝힌 뜬섬 보존 문제는 많은 시간이 걸릴 것이다. 그러나 많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뜬섬의 생태는 보존할 가치가 있다. 사람과 자연, 철새가 공존하는 뜬섬개발은 의지만 있다면 얼마든지 가능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