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민주당과 구 새정치연합은 한마디로 새정치를 하겠다고 합당한 당이다. 선거일을 얼마 남겨놓지 않는 상태에서의 합당이라 시간제약상 새정치가 가능할까 우려도 컸다.

물론 세월호 참사로 선거일정이 미뤄진 점도 있지만 요즘 보이는 새정치민주연합의 모양은 시간의 문제라고 보기엔 실망스럽기 짝이 없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새로운 인물군을 낸다며 새로운 경선방식도 내놓았다. 그러나 전남지역은 내분 등으로 지금까지 경선방식과 일정마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이 가장 새정치를 표방해야 할 곳은 호남지역이다. 민주당이면 당선이라는 병폐에서 탄생된 지방자치의 질 저하와 정치인들의 저하 등 이러한 것을 근절시키기 위해 인물중심의 전략공천도 운운했었다.

그러나 전남지역은 후보등록 일을 코앞에 남겨 놓고도 아무것도 제시한 것이 없다. 지금의 상황이라면 구 민주당이 줄기차게 해왔던 군민여론조사로 모든 것을 결정하게 될 판이다.

구 민주당이 그동안 후보들을 결정해왔던 방식은 군민여론조사였다. 현역이 아니면 절대로 새로운 인물의 등장을 기대할 수가 없는 경선방식이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전략 공천도 운운했지만 호남지역에서 전략공천의 예를 찾아보기 힘들며 특히 전남에서는 공론조사도 어려워질 판이다. 언제 선거인단을 모집하고 투표하고 이러한 절차를 밞겠느냐는 것이다.

이러한 실정인데도 새정치민주연합 전남도당은 구 민주계와 구 새정치연합의 갈등으로 시간만 죽이고 있다. 시간이 흘러갈수록 경선은 졸속으로 진행된다. 졸속으로 진행된 경선은 구 민주계가 호남에서 보여왔던 횡포적 공천방식과 전혀 다를 게 없게 된다.

경선방식은 모든 후보를 만족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특정 후보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경선방식은 문제가 있다. 새로운 인물들에게 작은 기회정도는 줘야 한다는 것이다.

이번 선거에서도 전남은 그동안 봐왔던 구 민주당이 저질렀던 전철을 또 지켜봐야 하는가.

선거혁명이라도 일으킬 것 같이 부산을 떨던 새정치민주연합, 전남에서 작게나마 선거변화를 보이지 않는다면 구 민주당과 전혀 다를바 없는 정치집단이 될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