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는 기억되어야 한다


1950년 6·25한국전쟁을 전후해서 해남지역에서 희생된 민간인의 숫자가 1000여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2005년 12월 1일부터 2010년 12월말까지 진실화해 위원회에서 조사된 숫자는 300여 명이다.

국가공권력에 의해서 영문도 모르고 희생된 영령들은 지금도 해원을 못 한 체 구천을 떠돌고 있다. 2005년부터 지난해 2013년까지 7회의 합동위령제를 유족이 주체가 돼 모셔왔다. 그러나 이제는 유족들이 점점 고령화 되면서 행사를 추진할 능력이 떨어져 가고 있다.

2010년 12월 말 진실화해위원회는 문을 닫으면서 몇 가지 권고사항을 내놓았다.

그중 하나가 위령사업의 지원이다. 위령사업을 할 수 있도록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가 지원하고, 희생자들의 죽음을 영원히 기억할 수 있는 위령비 등 기억 시설을 건립할 것 등이다.

전국적으로 많은 지역들이 추모공원과 추모탑도 건립했으며, 지자체에서 조례를 통과 시켜 유족이 나서지 않아도 위령제를 모실 수 있는 준비가 되어가고 있다. 우리와 가장 가까운 영암군에서도 지난해 조례가 통과됐다. 그러나 해남군의 경우 몇 차례 군 당국과 의회에 부탁한바 있으나 아무런 대답이  없다.

역사는 기억되어야 한다,

더군다나 불행한 역사는 반드시 기억해야 한다,

독일은 2차 대전 때 나치에 의해서 피해를 당한 유족에게는 국가가 무한 책임을 지고 있으며. 또한 지금도 가해자가 발견되면  즉시 처벌하고 있다.

국가공권력에 의한 피해는 소멸시효가 없도록 UN은 규정하고 있다,

인간의 생명은 하나뿐이다, 무엇하고도 바꿀 수 없는 소중 한  것이다.

아프리카에서 흑인을 상대로 봉사활동을 펼 첫 던 슈바이처는 곤충하나라도 함부로 죽이지 말라고 했다. 하물며 100만의 무고한 민간인을 학살하고도 64년이 흐른 오늘까지도 이 정부는 과거사 문제를 해결하지 않고 있다.

그래서 각 지역에서는 역사의식이 강한 지자체장들이 앞장서서 유족들을 챙기고 있다.

우리 고장 해남에서도 우선 위령제를 지자체에서 모시고 작으나마 추모공원과 추모탑이라도 하나 건립 되였으면 하는 것이 유족들의 바램이다.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유능한 후보자들의 이름이 오르내린다.

진정으로 유족들의 눈물을 닦아줄 수 있는 후보자가 있는지 궁금하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