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촛불 문화제가 열린 지난 8일, 군민광장에 온 대부분은 참석자들은 자녀를 둔 부모들이었다. 이들은 카네이션 대신 촛불을 들었다.
문화제 내내 참석자들은 울었다. 가슴에 삭히기에는 너무도 큰 참사, 세계가 울어버린 참사 앞에, 20여일이 지나도 참사가 남긴 충격과 아픔, 분노는 지워지지 않는다.
어느 때부턴가 우리사회는 인간의 존엄성과 민주적 가치보다는 경제논리가 우선시 됐고 통치와 지시, 책임이 전면에 떠올랐다.
국가와 사회, 조직은 지시와 책임 추궁으로 나아지지 않는다. 자율과 민주적 절차 등이 사회를 움직이는 진정한 힘이다. 자율 속에서 책임이 주어지고 민주적 절차 속에서 위계질서는 잡힌다. 강력한 통치는 결코 지시만으로 형성되지 않는다.
그러나 지금의 정부는 지시와 책임 추궁만이 전부이다. 문제만 발생하면 공직기강 확립이니, 사회악 근절이니 하며 사회를 문제 집단으로 몰고 간다.
세상을 움직이는 것은 긍정적 힘이자 마인드이다. 양이 음을 극복해야 세상은 움직인다. 항상 음을 찾아 색출하겠다는 발상은 극단적 통치자들이 즐겨 쓰는 통치개념이다.
숱한 인사들이 투옥되고 사형을 당하면서 민주주의를 이룩했던 대한민국이 침몰하고 있다.
대한민국 침몰과 함께 여당과 대통령의 지지율도 두 토막이 났다. 당연한 결과이다. 통치이념 없이 국민들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다는 오만, 대통령 말이면 천명이라도 되듯 호들갑을 떠는 정부와 여당에 대한 국민들의 심판이다.
6․4지방선거가 얼마 남지 않았다. 지지율이 하락하는 정부와 여당은 당연히 비상이다. 세월호 참사는 지금의 통치 질서가 만들어낸 재앙이다. 지금과 같은 통치 질서를 바꾸지 않는 한 또 다른 참사는 예고돼 있다.
이번 선거는 대한민국을 침몰시킨 여당에 대한 심판론적인 성격이 강하다. 여당에서 선거 때만 되면 터트리는 반공적 사건만 없으면 말이다.
세월호 참사를 잊지 말자는 것은 그 같은 일을 발생시킨 이들을 잊지 말자는 것도 포함돼 있다. 당연히 그에 따른 국민적 심판은 있어야 한다.
6․4지방선거에서 책임을 묻자. 국민의 저항적 힘을 보여주자. 슬픔과 분노가 얼마나 큰지를, 전 국민이 잠 못 이루며 눈물짓고 아파했던 마음을 보여주자.
해남우리신문
5430234@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