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읍에서 가장 운전하기 싫은 도로 중 하나가 홍교다리 인근과 매일시장~고도리 방향 천변로이다. 강력한 단속이 필요한 구간이지만 감히 손을 대지 못하고 있다.
물론 군도 이곳을 단속하려 했지만 상인들의 거센 반발로 한발 물러섰다.
그러나 교통체증이 심각한 곳은 손님도 피한다. 결국 상인들의 손해이다. 또 도로변에 나와 있는 적재물도 교통 흐름에 방해가 된다. 서로 지켜야 할 공동체 질서이다.
교통이 불편한 곳은 강력한 단속을 요구한다. 당장은 어려움도 있겠지만 교통이 원활하면 서로가 좋다.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곳은 무질서의 표본이 된다.
상가 차량의 도로변 주차도 생각해야 한다. 상가 주변 도로를 원활한 교통로로 만드는 일은 상인들도 함께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해남군은 주요 도로변에 칼라콘을 깔며 주정차 단속을 하고 있다. 그러나 홍교나 김만중 내과 앞 도로처럼 심각한 곳은 차량 견인 등이 필요하다. 또 주차단속원을 파견해 과태료를 발부해야 한다.
도로는 개인의 주차공간이 결코 아니다. 물론 주차장이 부족하다는 비판도 있겠지만 주차장은 아무리 많이 만들어도 주정차 문제는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는다. 불법 주정차 문제는 군민의식이 수반되는 일이다.
교통이 혼잡한 곳은 상인들 스스로가 자신들의 차량을 주정차하는 것부터 없애자.
그래야만이 당당히 해남군에 단속을 요청할 수 있다.


걷는 문화는 그 도심의 문화와도 연결된다. 걷는 이가 많을수록 상권은 살고 도심은 활력을 찾는다. 조금 불편하더라도 차량정체가 심한 곳은 걸어서 가는 의식도 필요하다.
해남군은 해남읍의 교통질서를 확립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 도로에 칼라콘을 깔고 과태료 부과 등의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젠 교통이 가장 혼잡한 곳으로 단속의 눈을 돌리자.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