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사랑


세월호의 참사는 차마 입에 담을 수조차 없다.

세월호 관련 뉴스는 영원히 현재 진행형이 되어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 가운데서도 수학여행 가던 남녀 고교생의 시신이 구명조끼 끈으로 묶인 채 수습되었다는 소식에는 가슴이 더욱 저린다. 절박한 그 순간에 어쩌면 이미 죽음을 예감할 수 있었을 그때 왜 그들은 묶어서 한 몸이 되었을까?

나는 아내로부터 나무토막이라는 핀잔을 듣는 감성의 소유자다. 하지만 한 몸이 될 수밖에 없었던 그들의 마음에 나도 자꾸만 눈물이 난다. 시나브로 다가오는 죽음에 대한 공포와 두려움에 대한 공동대처 방안이었을까? 혹은 같은 학교 동급생으로서 위안을 얻기 위한 수단이었을까? 아니면 큰 재난 앞에서 서로 돕는다는 인간 본성일까. 다른 어떤 이유보다도 절체절명의 순간에 생존을 위한 단순한 몸부림은 결코 아니었으리라.

내 가슴이 이렇게 뜨거워지고 눈물이 나는 것은 아마도 사랑 때문이라는 생각에 나는 이를 ‘세월호의 사랑’이라고 부르고 싶다. 러브스토리는 언제나 그렇듯이 사건이나 사고가 극적일 때 더욱 아름답다.

참사에 대한 참혹한 뉴스 가운데서도 우리는 생명보다 귀한 사랑을 발견할 수 있다. 아이에게 구명조끼를 입혀주기 위해 자신은 잊은 채 울부짖으며 허둥댄 모정 이야기. 침몰하고 있는 갑판 위에서 “괜찮을 거야!” 라는 말로 서로 격려하던 학생들. 제자를 구하느라 영영 돌아오지 않는 선생님. ‘아이 먼저!’ 외치며 쓰러져간 어느 남학생. 승객을 위해 끝까지 갑판을 지킨 여 승무원 등. 읽으면 가슴이 먹먹해지는 사랑의 문자 메시지 등. 짧은 사랑의 이야기 일수록 문학작품은 명작이 되고 영화는 명화가 됐다.

소설 〈로미오와 줄리엣〉은 5일. 영화〈타이타닉〉은 3일 간의 러브스토리다.

구명조끼 끈으로 한 몸이 된〈세월호의 사랑〉은 고작 10시간 남짓이다. 이보다 더 지고지순한 사랑이 또 있을까?

사람들은 너무 익숙하고 가볍고 상투적인 사랑에 물들어 “사랑은 다 그런 거야!” 라고 쉽게 말한다. 그러나 이는 참된 사랑에 대한 모독이다. 사랑의 위대함과 소중함 그리고 뜨거운 감정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세월호의 사랑〉에서 나도 사랑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 같다.

지금까지 내가 바라던 사랑은 기껏해야 상대의 마음 훔치기였거나 아니면 과대 포장한 내 마음을 비싼 가격에 팔기를 원했던 연애 초급 기술에 지나지 않았다.

사랑! 진실로 위대하고 참된 사랑이란 시시덕거리는 말장난이나 속임수가 아니고 목숨 건 희생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