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영 자(편집국장)

해남에서 70% 이상 득표, 대통령 선거를 제외하곤 윤영일 당선자가 유일하다. 황색바람이 일었을 때도 70%이상 득표자는 없었다.
그야말로 호남에서 인 국민의당 바람이고 해남출신을 뽑자는 지역주의 바람이 70% 이상 득표율이라는 열매를 윤 당선자에게 안겨줬다.
해남에서 첫 70% 이상 득표, 이는 윤 당선자에 대한 이후의 평가 잣대가 엄혹해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윤 당선자는 이번 총선에서 제대로 된 공약을 제시하지 못했다. 해남군에서 이미 추진 중인 광역추모공원을 조성하겠다고 내걸었고 군민들의 토론이 필요한 완도 간 고속도로 조기 개통, 이미 물 건너 간 보성~임성 간 철도역을 계곡에서 해남읍으로 옮기겠다는 공약, 해남 터미널 이전 등 검토와 고민이 부족한 공약들을 쏟아냈다.
또 군수선거에서나 볼 수 있는 공약이 무수히 많은 반면 정작 국회의원이 해야 할 법 개정 관련 공약은 극히 미비했다. 한마디로 이번 총선에 출마한 후보들 중 공약에선 가장 뒤떨어졌다. 그런데도 당선됐다. 천운을 타고났다는 말이 나올 만큼 바람이 준 행운이었다. 그러나 당선된 지금  유권자들의 눈이 냉철해질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이젠 바람과 소지역주의가 아닌 한 명의 국회의원으로 평가가 내려진다는 것이다.
호남에서 인 국민의당 바람은 더민주에 대한 심판이었다. 그러나 국민의당이 민심을 잃었을 때 호남의 민심은 다시 더민주로 향할 수 있다. 또 호남에서의 두 야당의 존재는 이후 총선에서의 공천의 잣대가 높아질 수 있음을, 유권자의 후보자에 대한 눈높이 또한 높아질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윤 당선자는 감사원 출신이다. 감사원은 대민행정 기관이 아니다. 어쩌면 사법적인 성격이 강한 조직이다. 대화하고 타협하는 민주적인 결정방식이 몸에 배지 않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현재 국회는 사법권 출신의 비율이 높다. 국회는 여야 간의 협치와 타협을 통해 법을 생산해 내야 한다. 사법권 출신이 많은 국회는 이런 점에서 우려될 수 있다.
윤 당선자는 감사원 이후 공기업에서 근무했다. 그리고 국회의원 배지를 달았다. 한 개인으로서는 영달의 길이 연속 열린 셈이다. 그러나 국회는 감사원과 다른 생리를 요구하고 있고 지역구 관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특히 군수와 군의원들이 다른 당인 지금의 경우 협치와 상생의 정치는 해남에서도 실험대이다.  
제20대 국회는 경제를 가장 큰 이슈로 내걸고 있다. 한국경제가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점에서 당연하다. 그러나 해남은 농업군이다. 농업이 살아야 상권도 산다. 각종 직불금 인상과 농산물 최저가격보장제, 쌀 목표가격 인상, 밥쌀용 쌀 수입문제 등 풀어야할 숙제가 산적해 있다. 농어업관련법 개정과 정책은 다수의 농어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간다. 또 나라의 근간인 농업을 살리는 길이다. 대형 토목공사와 시설물 가지고는 해남을 살릴 수 없다. 지역을 위해 많은 예산을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중심엔 농업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농업관련법 개정과 산이 간척지 장기임대, 쌀값 인상 등에서 김영록 의원은 많은 역할을 했다. 농업문제에서만큼은 열심히 한 의원으로 평가를 받는다.
20대 국회는 농업관련 인사들이 매우 적다. 순수 농업인을 비롯한 전·현직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을 포함해 고작 20명 안팎이다.  
윤 당선자가 어느 상임위에서 활동할지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해남인의 다수가 종사하는 농어업은 해남경제의 근간이다. 농업정책에 관심을 가져 달라는 것이다. 2년 후엔 지방동시선거가 있다. 윤 당선자를 도운 이들의 논공행상이 지금부터 벌어질 수 있다. 그러나 그로부터도 자유로워야 한다. 논공행상은 지방자치 수준을 현저히 낮춰버릴 수 있다.
70% 이상 득표, 묻지마 선거의 결과다. 이러한 득표율은 기대보다 우려가 더 클 수 있음을, 평가 잣대가 더 날카로울 수 있음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