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화 되고 있는 군정공백, 대한민국도 진공상태지만 해남군도 마찬가지다. 박철환 군수가 항소심에서도 실형을 받을 경우 군정공백은 2018년 6월까지 이어진다. 만약 항소심에서 무죄가 아닌 집행유예를 받을 경우엔 군수직을 유지한 채 대법원의 판결을 기다릴 수 있다.
장기화되고 있는 군정공백을 놓고 의견이 갈리고 있다. 한편에선 군정공백의 최소화를 위해 박 군수가 결단을 해줘야 한다는 주장이고 한편에선 잦은 보궐선거는 해남군의 명예를 또 한 번 실추시킨다는 주장이다. 또 내년 4월 보궐선거에서 당선된 군수는 1년 후에 있을 선거를 대비해 소신보다는 다음 선거를 위해 분주히 움직일 것이기에 군정공백은 이어질 것이란 우려이다.
그러나 1심 판결이 나온 지금, 박철환 군수는 어떠한 입장이든 밝혀야 한다.
박 군수 개인의 입장에선 억울할 수 있다. 명예회복을 위해 대법원까지 갈 수 있다. 그러나 박 군수에겐 해남군이라는 공적영역이 있다. 개인의 명예보단 이 영역이 더 중요하다.
1심 판결이 나왔을 때 군민들에게 메시지를 보냈어야 했다. 지금도 늦지 않다.
장기화된 군정공백에 대해 박 군수는 그 누구보다 염려와 고심이 클 것이다. 그러기에 향후 거취에 대한 입장을 표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개인이 아닌 8만 군민의 수장이기에.
박 군수의 실형 선고에 대해 안타깝고 가슴 아파하는 군민들이 많다. 이들에 대한 예의 차원에서라도 입장을 밝혀야 한다.
몇몇 사회단체들이 군수사퇴를 촉구하고 나섰다. 이들의 주장이 설득력을 얻으려면 호소력 있는 주장이 필요하다.
작금의 사태에 대해 비통해하지 않는 군민이 없을 것이다. 이러한 마음을 담은 요구, 서로 간의 생채기를 최소화하는 주장, 이는 해남의 공동체와도 관련이 있다. 어떠한 문제점을 도출하거나 해결할 때 공동체 강화를 먼저 염두에 둬야 한다. 왜냐하면 문제해결은 서로가 공감하고 그 속에서 서로 간의 신뢰를 확인하는 과정이 더 중요하기 때문이다.
처음 감사원이 해남군의 공무원 인사문제를 터뜨렸을 때 박 군수는 군민들에게 유감의 표명이라도 했어야 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때를 놓쳤다.
수장으로서 제때 밝히지 않는 입장표명은 민심의 상실로 이어진다. 이번에는 늦지 않아야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