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 영 자(편집국장)

박철환 군수의 구속에 이어 김효남 전 도의원의 구속. 이중 김효남 의원의 사퇴로 도의원 제2선거구는 보궐선거를 치러야 한다.
만약 박철환 군수도 3월13일 이전에 사퇴하면 도의원 선거에 이어 군수보궐선거도 치러진다.
문제는 해남군에 이러한 일들이 일어났는데 그 누구도 책임지는 이들이 없다는 것이다. 결국 투표를 잘못한 유권자들의 문제로 귀결되는 형국이다.
군수와 도의원, 군의원은 정당에서 공천을 한다.
한마디로 지방자치도 정당정치에 해당된다. 더불어민주당의 전신인 민주당은 호남에서 많은 덕을 받다.
새누리당과 민주당이라는 양당체제에서 호남의 선택은 민주당으로 국한됐다. 인물은 뒷전이었다.
박철환 군수와 김효남 전 도의원은 민주당에서 공천을 했다. 그러나 두 사람 모두 구속됐다.
물론 김효남 의원은 이후 국민의당으로 당적을 옮겼지만 민주당에서 공천을 받은 후보였다.
정당정치는 책임정치이다. 그러나 이번 사태에 대해 더민주당의 입장은 없다. 지극히 개인의 일로 치부하는 것이다.
또 더민주당 일색인 해남군의회도 입장 표명이 없다. 더민주당 소속 의원들 간에 입장이 갈려 전체 입장을 내기 힘들었다고 한다.
다행인지 더민주 소속인 이대배 의원이 성명서에 이름을 올려 더민주 집단 불참이라는 비난만은 모면하게 됐다.
물론 군의회에서 사퇴촉구 성명서를 낸다고 해서 박철환 군수가 입장을 표명하는데 영향을 미치겠느냐 하겠지만 군민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대의기관으로서 어떤 모습을 취해야 하는지는 판단해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 광화문에서 시작된 촛불민심, 국회는 이를 받아들어 대통령 탄핵안을 가결했다.
해남군민의 최고 큰바람은 군정공백이 더 이상 길어져선 안 된다는 것이다. 또 개인의 억울함 때문에 군정을 이렇게까지 방치해도 되느냐 하는 비판이다.
구속에 이어 1심 재판까지만 해도 군민들은 지켜보자는 입장이었다. 그러나 2심 판결 이후 최장기 군정공백이 예상되자 군민들의 비판의 강도도 높아졌다. 군의회도 모를 리 없다.
그러나 해남의 최장기 군정공백을 철저히 박 군수의 개인 일로 치부해 버리고 있다.
군의회는 정례회의와 임시회를 통해 군 업무를 견제하고 예산을 심의한다.
그러나 군정공백으로 초래된 행정의 부실, 예산수립의 부실 등에 대해선 다룰 방법이 없다. 행정이 편성한 예산과 수립한 사업계획 내에서만 견제와 대안을 찾아야하는 한계 때문이다.
행정이 바삐 움직여야 이를 견제하고 대안을 찾는 일에 의회도 바빠진다. 그러나 지금 행정도 의회도 한가하다. 군민들은 군수공백이 장기화되면서 행정에 대한 기대도 줄었다. 어서 빨리 군정공백이 끝나야 한다는 바람만 있을 뿐이다.
그러나 군민들의 바람을 대신해 줄 곳은 없다. 이러한 일이 발생한 것에 대해 유감이라도 표명하는 곳도 없다.
박철환 군수도 아직까지 사과 한마디 없다. 김영록 전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한 더민주당도 침묵이다. 
해남의 생활정치는 아수라장이 됐는데 대통령 선거에서 더민주당 후보를 지지해 달라고 말할 것인가. 물론 최순실 국정농단 앞에서 국민들의 대선 관심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생활정치도 중요하다.
해남엔 원로도 없다. 누군가는 나서서 이 사태에 대해 논의하고 방안을 찾아야 하는데 아무도 나서는 이가 없다.
군민 삼삼오오만 모여도 박 군수 사퇴를 이야기하지만 정작 이를 공식화시키는 원로도 사회단체도 없다.
이는 해남이라는 지역사회가 지연과 혈연관계로 얽어있음을 의미하며 공익보다 사적영역이 더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지역사회 문화는 정치를 퇴보시키고 군민여론마저 왜곡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해남군의 지금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된 최장기 군정 공백. 그런데도 침묵이다. 그러면서도 지역사회 발전과 변화를 말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