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출직의 잦은 구속으로 정치 불명예 지역이라는 오명과 인근 지자체에 비해 낙후된 지역경제. 이를 극복해야 한다는 의견은 여전이 높다. 특히 이러한 지역의 낙후성은 결국 선거에서 기인했다는 반성은 여전히 유효하다. 
군수와 도의원의 구속 이후 치러진 이번 도의원 제2선거구 선거는 그런 의미에서 관심이 높았다. 과연 해남유권자들이 해남이 안고 있는 문제를 어떻게 표출할지의 관심이었다.
물론 지난 선거에 비해 향응제공과 금품 전달 등에선 현저히 나아진 선거문화를 보였다. 단일 선거다 보니 선관위의 눈길을 온통 받았던 점도 있지만 변화된 것만은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 선거도 정책선거 및 인물선거와는 거리가 멀었다. 정책의 실종이었다.

 조기대선을 앞둔 선거이기에 정당의 바람을 탔다. 촛불민심 후에도 TK에서 자유한국당이 여전히 건재하듯 해남지역에서도 정당투표의 경향이 강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번 선거에서도 소지역주의 성향이 선거결과를 좌우했다. 양재승 후보의 출신지인 옥천면은 70% 이상을, 박성재 후보 출신지인 송지면은 80%가 넘은 지지율을 보였다. 특히 유권자가 절대 다수를 차지하는 송지면의 몰표 행진은 이번 선거에서도 여전했다. 따라서 정당바람과 소지역주의가 이번 선거의 당락을 결정한 셈이다. 

 이번 선거는 내년 6월 동시지방선거에서 유권자의 성향을 바라볼 수 있다는 점에서도 관심이었다. 그러나 기대는 기대로 끝났다. 이러한 선거문화라면 준비된 후보는 필요가 없다. 당선이 유리한 지역출신이면 된다. 또 바람을 탄 정당 공천만 받으면 끝이다.
지역주의와 정당바람을 탄 선거는 그 인물에 그 인물이라는 선거문화를 여전히 양산한다. 또 이러한 선거문화는 자치발전을 후퇴시킨다는 이야기는 여전히 교과서적인 이야기로 끝을 맺는다.
특히 이번 선거는 각 정당들이 인물의 능력과 정책보단 당선을 목적으로 둔 지역을 선택할 가능성도 키웠다는 평가이다.

 결국 해남의 선거문화를 높이기 위해선 더민주나 국민의당의 경선과정에서부터 군민들의 참여가 돼야 한다는 것이다. 해남의 지방자치 발전을 위해 더 나은 인물이 공천을 받을 수 있는 시스템, 다양한 토론회와 검증과정에 군민들이 참여하는 시스템이 중요하게 대두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