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도 사람처럼 대접받을 권리 있다

▲ 민상금(전 서울시의원)

 지난 이명박 대통령 시절, 운하니 4대강 사업을 한다고 할 때 우리나라 국민 대다수는 반대했다. 
다만 일부 정치인과 관료 및 곡학아세를 좋아하는 어용학자 몇 사람이 동조했을 뿐이다. 얼마 전 주간지 <한겨레 21> 1154호(2017.3.27.발행)에 “4대강 살릴 수 있습니까?”하는 특집기사를 실었다. <한겨레 21>은 “독자에게 파괴된 자연과 실상을 전하고 회복의 대안을 전하려 했다”고 밝히고 있다. 
4대강 사업은 2009년 7월부터 2011년 10월까지 공사기간 27개월 공사금액 22조 2천억 원의 건국 이래 최대 공사였다. 공사가 끝난 후 정부에서는 유공자 1157명에게 훈·포상했으니 그 규모를 짐작할 만하다.
그런데 시민단체 환경운동연합회에서는 단군 이래 최대의 사기극이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들이 주장했던 수질 개선, 가뭄과 홍수 예방, 천수 공간 조성 등 1석 7조의 다목적 사업이라는 이명박 정부의 홍보는 모두 허구라고 주장한다. 
특히 4대강 사업 반대 활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한강의 이항진(52) 여주환경운동연합집행위원, 낙동강의 정수근(45) 대구환경운동연합생태보존국장, 금강의 김종술(51) 오마이뉴스시민기자, 영산강의 최지현(45) 광주환경운동연합사무처장 4명이다. 특집 기사의 주 내용은 이들 4명이 지난 3월13일 대전환경연합사무실에서 처음으로 만나 2시간이 넘도록 나누었던 그간의 체험담이 주 내용이다. 

 16페이지에 이르는 대화 내용과 현장 사진, 그리고 이명박 전 대통령을 중심으로 당시 언론을 통해서 많이 듣고 보았던 장관 등 주요 공직자 10명의 사진을 보면서 10일 전 읽었던 뉴질랜드 황가누이강 관련 외신기사가 자연스럽게 떠올랐다. 
황가누이강은 뉴질랜드 북섬에 있는 길이 290km의 가장 큰 강이다. 그런데 뉴질랜드 의회에서는 지난 3월15일 황가누이강에게 살아있는 사람과 똑같은 법적 권리와 책임을 부여하는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뉴질랜드 언론이 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이제는 어느 누구도 이 강을 함부로 해치거나 더럽히면 사람한테 저지른 범죄와 똑같이 처벌받는다. 뉴질랜드 조약협상장관 크리스 핀 레이슨은 “법안은 황가누이강과 마오리족의 깊은 영적 유대를 반영하는 것으로 강의 미래를 위한 강한 토대를 만들었다.”고 말했다. 

 600여 년 전부터 뉴질랜드의 원주민 마오리족은 황가누이강 주위에서 터를 잡고 살아왔다. 마오리족은 황가누이강을 가리켜 ‘코 아우 테 아우아, 코 테 아우아 코 아우’ 즉, ‘나는 강이요, 강은 나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마오리족은 자신과 강을 동일시하며 기억하고 보존해야 할 귀중한 보물을 뜻하는 ‘타옹가(taonga)’로 여긴다. 그래서 마오리족은 황가누이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법적 보호를 확보하기 위해서 정부와 160여 년을 싸웠는데 이번에 그 소원을 성취해 대단히 기뻐한다고 한다. 
또 이 법에 따라 국가는 마오리족에게 우리 돈으로 636억 원을 보상하고, 강을 보존하는데 238억 원, 법적 토대 마련에 9억 원 상당의 기금을 조성할 예정이라고 한다. 
우리나라도 강을 황가누이강처럼 사람대접까지는 못한다 할지라도 환경운동연합회원의 지적처럼 자연이 강을 스스로 관리하는 시대가 빨리 올 수 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