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농산어촌해남문화융합센터 소장)

 광주·전남의 지역 아동센터는 최근 중앙 부처 간 협력 사업의 일환으로 문화예술 교육을 하고 있다. 아동센터의 열악한 환경에 대해 눈을 뜰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된 셈이다. 
이와 함께 현 정부는 문화예술에 대해 지원하되 간섭 않는다는 원칙 아래 지난 정부의 블랙리스트 관련 화마를 진화하고 있다. 특히 생활문화 확대, 지역 간 문화격차 해소, 문화 다양성 확보와 균형 등 현시점에 필요한 일들을 기획하고 관리할 뜻을 비쳤다. 
중앙정부의 이러한 뜻이 지방에 어떻게 이입될 것인가. 반대로 지방자치 내에서 문화예술 교육과 사업은 어떤 방식으로 논의가 진행되고 있으며, 그 의사를 중앙의 발과 어떤 식으로 맞춰 진행될 것인가는 지자체 몫이다.

 프랑스에 프락(FRAC)이라는 단체가 있다. 프락은 80년대 프랑스 문화정책 전반에 반영된 프랑스의 지방분권화 정책을 기조로 해 1982년 자그 랑이 시작했다. 
프락은 미술관, 전시장 그리고 교육 센터의 복합적인 성격을 띠며, 박물관의 기능을 유연하게 그리고 보다 적극적이고 활발한 교육 및 전시 활동을 하기 위해 설립됐다.
미술가들이 학교수업에 직접 참여, 학생들이 작가들과 직접 교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도 프락의 주요 활동 중 하나이다. 이러한 예술가의 학교현장 참여는 예술가들의 사전 재교육 차원의 ‘참여 예술가 자격제도’를 통해 선정된 작가들을 중심으로 이뤄진다.
문화의 접근성에 있어 미술 부분에만 한정할 것은 아니다. 프랑스의 프락의 사례를 통해 우리 지역 해남의 문화정책은 어디로 가야 할까.  

 먼저, 문화예술 교육의 제약 상황에 대해 분야별 접근이 필요하다. 경제적, 사회적, 지리적, 세대 간의 소통점 등을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 또한 단순 교육과 성과 발표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교육 수혜자가 다시 문화예술교육의 거점 역할을 확충할 수 있는 인적 네트워크 구성 역시 고려해야 한다.
프랑스의 아뜰리에 체험 교육처럼 이론적인 교육과 병행하면서 지역 예술인들을 교육활동에 투입할 방법 역시 지자체가 강구해야 할 과제이다. 이 계획은 단기적 속성이 아닌 장기적 프로젝트를 가지고 가령 5년과 10년 등으로 지역 교사와 외부 파트너(지역 예술인)와 연계해 학생들을 지도하며, 문화적 토대를 구축하는 프로젝트로 가야 한다.
이는 단순히 지역 예술인의 복지를 보장하는 것뿐만 아니라, 영구적 문화적 가치 자산을 지자체가 보유한다는 개념으로 생각해 볼 수도 있다.
포괄적 의미에서 문화융성정책, 문화예술인 교육 정책의 주요 기조는 국민의 문화적 복지 수준의 향상이며, 취약계층에 관한 배려에 있다. 4차 산업혁명 시기에 개개인의 다양성과 창의성은 마음껏 발휘될 수 있는 기반이 조성돼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문화예술 교육은 창의 인재융성, 일자리 사업, 지역을 뿌리로 한 인문 예술의 재구성이라는 의미가 있다. 
지난해 촛불을 들며 열망했던 바람이 정치 지도부의 구성을 바꾸었다. 그렇다고 해서 손을 놓고 있는 것은 참다운 주인의식을 버리는 것과 같다. 이제부터 시작이다. 
털실이 어지럽게 꼬여 있다고 해도 그 첫줄을 찾아야 한다. 그것이 어쩌면 문화예술 교육이 아닌가 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