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9일 전국 학교비정규직노조의 전면 파업으로 학교급식이 차질을 빚는 등 불편이 따랐다. 전국에 학교 비정규직은 교무·행정보조, 사서, 급식조리원을 등 총 38만명이며 노조에 가입된 이는 17만명 가량, 이번 파업에 참여한 이는 1만8000명이다. 이번 파업에서 노조는 동일직종 동일업무 호봉제 단일화, 월급제 전환, 차별금지 등을 요구했다. 공무원과 같은 대우가 아닌 학교현장에서 교육의 일익을 맡고 있는 사실을 인정하고, 그에 걸맞은 고용안정을 보장해 달라는 것이다.
학생들 급식을 볼모로 한 파업이 아닌, 노동자로서의 정당한 권리를 보장받기 위한 파업이었다. 학교 비정규직은 학교 내에서 절대 약자에 속한다. 100만원에도 못 미치는 월급으로 온갖 잡일까지 도맡고 있으며 4대 보험에도 가입되지 못하고 임의로 해고되는 일도 많다. 이번 파업의 관심은 학교급식 중단에만 쏠렸다. 아직 사회가 비정규직을 교사와 학생, 학부모와 함께 하나의 당당한 교육주체로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이다. 비정상적인 비정규직 직군의 비대화는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아이들의 급식중단 사태만을 걱정할 일이 아니다. 해남지역도 학교비정규직노조가 누구보다 학생급식 차질 등의 문제를 잘 알면서도 파업이라는 극단적 수단을 선택한 배경에 대해 관심을 가지려 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취임 직후 첫 외부 공식일정으로 인천공항을 찾아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정책을 발표하면서 비정규직의 요구가 폭발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학교 비정규직의 부당한 처우는 이미 오래전에 시작됐다. 2012년도에도 지난달 29일과 같은 파업선언이 있었다. 불과 하루에 불과했지만 반응은 냉대했다. 5년이 지난 지금도 현실은 크게 바뀐 것이 없다. 아이들이 학교에서 매일 마주치는 경비아저씨부터 급식 조리원, 교사전담교사, 방과후교사 등 담임교사를 제외하곤 모두 비정규직이다. 급식 어머니들의 권리행사, 하루 이틀 급식중단의 불편쯤은 감내할 수 있는 사회적 관심이 요구되는 때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