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의 규모화, 대기업을 끌어들여 간척지에 실험적인 농업특화단지를 만들겠다는 정부의 계획이 물거품이 되고 있다. 실험적인 농업특화단지도 실패했고 대기업을 끌어들이는 것도 실패했다. 
2011년 산이간척지 700여ha(212만평) 면적에 5개 업체의 대규모 농업회사가 들어왔다. 당시 농민들의 반발도 심했다. 
그러나 정부는 일반작물이 아닌 새로운 대체작물을 연구개발해 새로운 농업특화단지로 조성한다며 이를 강행했다. 
하지만 6년이 지난 지금, 단순한 토지임대 수준에 그치는 모양새다. 대체작물을 육성코자 초기에 분주한 움직임을 보였던 것과 달리 아무것도 심어지지 않은 빈 땅과 부실한 생육상태의 작물이 듬성듬성 심어져 있을 뿐이다. 

 애초에 염분이 높은 간척지에 그것도 논농사에 적합한 구조로 만들어진 간척지에 새로운 대체작물을 육성한다는 것 자체가 처음부터 성공 가능성이 희박했다.  
농어촌공사는 물론 지자체의 지원을 받기 어려운 구조 속에 대규모농업회사들은 토질을 바꾸고 구조를 변경하는 등 투자와 노력이 끊임없이 이어졌다.
하지만 결국 쌀, 밀, 보리 등 일반작물에 대항할 만한 성과는 만들어내지 못했으며, 오히려 일반 육답보다 못한 결과가 발생했다.

 대규모 농어업회사들은 계약부지가 넓은 만큼 투자비용도 늘었고 그에 따른 손해도 커졌다. 그렇게 갈팡질팡하는 사이 어떠한 작물도 심어지지 못한 빈 땅은 점차 늘어난 것이다.
그렇다고 그 넓은 면적에 무작정 아무 작물이나 심을 수도 없는 노릇이다.
사업의 목적을 바로잡지 않고 사업체만 들여놓으면 뭐라도 될 것이라는 정부의 안일한 생각이 지금의 산이간척지 내 대규모 농어업회사의 현주소가 된 것이다. 

 6년간의 시행착오가 있었다. 그렇다면 그 시행착오 속에서 성과를 낼 만한 사업방향이 나왔을까.
2018년부터는 일시계약에서 벗어나 본 계약이 이뤄진다. 이는 간척지 내 영농회사가 더욱 조심성 있게 다가가야 함을 의미하며 농어촌공사가 사업의 목적을 확실히 해야 함도 의미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