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영자 편집국장

 한때 자정 움직임이 일었던 각종 행사와 축제의 격식이 강화되고 있다. 
기념사, 축사 또 축사, 내빈소개 등 행사시간 절반을 의전이 차지하고 있다. 특히 내년 동시지방선거를 앞두고 의전의 성격은 더 강화될 움직임이다. 
담당공무원은 행사주관 자격으로, 군의회 의장은 의장자격으로, 지역구 의원은 지역구의원 자격으로, 도의원은 또 도의원 자격으로, 끝이 없는 격려사와 축사의 행렬이다. 잡음도 일어난다. 누가 축사를 해야 되는데 의전이 잘못됐다는 잡음.

 노인의 날 행사도 마찬가지다. 나이 드신 어르신을 위한 잔치, 공경의 마음에서 만든 자리인데 지역을 대표하는 이들의 잔치인지, 한창 나이도 적은 대표들의 줄지은 축사를 어르신들은 묵묵히 듣고 있다. 묵묵히 듣고 있는 가운데서도 또~야 하는 한숨소리가 들린다. 
행사와 축제는 만남의 자리이자 소통의 자리이다. 각각의 인연들이 만나는 자리이자 동일한 것을 추구하는 이들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는 자리이다. 그런데 의전이 그 자리를 꿰찼다. 
축사 등이 점령해 버린 행사를 지켜봐야 하는 심정, 모처럼 기대갖고 간 자리가 지루함으로, 식상함으로 끝이 난다면 그러한 행사를 성공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행정력의 낭비도 너무 크다. 해남에서 이뤄지는 대부분의 행사가 해남군과 관련이 있기에 관련부서가 총 출동한다. 담당과장, 담당팀장, 담당자 등 한 행사당 3명 이상의 공무원이 뜬다. 혹 군수나 담당과장의 축사순서가 있으면 축사 담당 공무원은 종일 축사 쓰는데 매달린다. 유영걸 군수권한대행은 해남 부군수 부임 초기, 각종 행사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군수권한대행이 참석하지 않자 대신 실과장들이 참석했다. 실과장들은 행사참석과 함께 축사도 대행한다. 그냥 해남군 대표로 참석했으면 됐지, 축사까지 준비하고 또 단상에서 읽어야 하니 몇몇 실과장들은 죽을 맛이라고 하소연한다. 
업무도 산더미이고 나가봐야 할 현장도 많은데 각종 행사장에 2시간 이상 묶여 있어야 하고 혹 참석지 않으면 그 아우성도 견디기 힘들다는 것이다. 
유영걸 군수권한대행은 행사장에 참석하지 않는다는 비판 앞에 한발 물러섰다. 큰 행사에만 참석하겠다고 했다.    
의전이 강한 행사는 권위의식에서 나온다. 당연히 의전이 강한 행사는 내실이 없고 관객을 객체화시킨다.   
행사의 내용에 충실하면 됐지 그 자리에 꼭 군수가 참석해야 할까. 담당공무원도 행사가 잘 진행되는지 살펴보면 됐지 과장부터 팀장까지 줄줄이 참석해 축사하고 내빈석에 앉아야 할 이유가 있을까. 의전이 중시되는 행사는 그 행사를 주체하는 대표의 권위의식의 발로이자 자기만족에서 비롯된다. 
예의상 초청장은 보낼 수 있다. 그러나 내빈석을 따로 두고 축하 및 격려사로 이어지는 의전행사는 생각해 봐야 한다. 의전이 간략화 된 행사, 그토록 어려울까.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