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유 성(해남우리신문 기자)

 최근 코로나19가 전국을 덮쳤지만 전남은 4명, 현재까지 그 수가 늘지않아 청정지역에 포함된다. 
전남이 코로나 청정지역이라는 소식에 외국인근로자가 몰린다는 이야기도 심심찮게 들여오고 있다. 과연 해남에는 외국인 근로자가 몇 명이나 있을까. 해남들녘에서 일하는 인력은 죄다 외국인 근로자이다. 
선거 때 후보들은 들녘에 사람이 보이면 찾아가는데 막상 가보면 투표권이 없는 외국인이 전부라는 말을 심심찮게 말한다.  
농번기 철이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언론에선 코로나를 피해 고국으로 돌아가는 외국인이 줄을 잇고 있다고 한다. 
물론 거기에는 코로나에 감염됐을 때 보호를 받지 못할 것이라는 불안감을 가진 불법체류자들이 많을 것이다. 
현지인도 코로나에 감염되면 사회적 시선을 피할 수 없는데 외국인근로자, 더 나아가 불법체류자라면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다.  
초고령화에 접어든 해남은 외국인근로자 없이는 농사도 바닷일도 올스톱이다. 식당도 마찬가지다. 해남에 거주하는 이들은 지역상권에도 영향을 미친다. 
해남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은 농번기 1만명, 농한기에는 절반 가까이 줄어든다는 것 뿐 이들에 대한 정보는 없다. 
농번기가 다가오면서 해남에 거주하는 외국인 근로자들이 얼마나 될까라는 호기심에 해남군에 노크를 해봤다. 그러나 파악하기란 사실상 어렵다는 것을 실감했다. 
불법취업과 불법체류, 실거주자 파악 등은 외국인정책본부인 출입국관리소에서 관리하고 있지만 신고 및 사고에만 의존할 뿐 능동적인 움직임은 없는 상태다. 
또한 계절근로자와 일반 외국인근로자, 관광목적으로 국내에 들어와 취업한 외국인 등 여러 형태의 외국인노동자에 대해 각기 다른 부서에서 각기 다른 형태로 관리하고 있다. 따라 전체 외국인근로자에 대한 파악이 이뤄지지 못하는 있는 것이다.
전국적으로 체류 외국인 수가 250만명을 넘었고 해남군에도 인구 1/7정도에 해당하는 외국인노동자가 존재한다. 이제는 외국인근로자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분석할 수 있는 컨트롤타워가 필요하다는 것을 느낀다. 
그렇다고 전수조사를 통해 불법여부를 심판하자는 것은 아니다. 체류기간이나 비자목적에 따른 불법여부는 판단하는 것은 추후 문제다. 최소한 그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이라면 그들이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는 대한 기본적인 데이터라도 갖고 있자는 것이다. 
최근 현산면에서 화재가 발생해 외국인 근로자 3명이 사망하는 사건이 있었다. 
사건이 발생하고 한동안 그들이 태국인이라는 것 외에 나머진 정보를 파악하는 데는 애를 먹었고 불분명한 루머도 확산시켰다. 
또 밤늦게 돌아다니는 덩치가 큰 외국인을 보면 덜컥 겁이 난다는 주민들도 있고 마을마다 외국인들이 집단으로 거주하고 있지만 그들의 실체는 알고 있는 이는 개인브로커 말고 없기에 두려움이 앞선다는 이들도 있다. 
외국인노동자가 해남 들녘을 누빈지도 십 수년이 넘었다. 하지만 우리는 여전히 그들이 어디서 와서 어디로 가는지 알 수가 없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