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9일은 치아의 날입니다. 만 여섯(6)살이 되면 나오는 영구(9)치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정한 날인만큼 6~12세 어린이를 위한 올바른 구강 관리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중요할 것 같네요.
치과의사로서 초등학교 검진을 다녀보면 첫 번째 어금니나 두 번째 어금니가 맹출 되자마자 충치가 생긴 것을 많이 발견하게 됩니다. 어떻게 이가 나오자마자 썩는지 의아해하는 부모님들이 있는데 이것은 치아가 맹출 할 때 석회화가 덜 된 상태로 나와 충치가 생기기 더 쉽기 때문입니다.
홈메우기에 대해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요, 충치가 생기기 전에 영구치 씹는 면의 좁고 깊은 홈을 메워주는 치료로 충치를 어느 정도 예방을 할 수 있어 많이 권장하고 있지만 하루 세 번(특히 잠을 자기 직전에) 구석구석 이를 닦지 않으면 충치가 생기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겠죠. 스스로 칫솔질을 할 수 있다고 하더라도 부모님의 세심한 관찰과 지도가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6개월에 한 번씩 치과나 보건소에서 검진을 받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충치 말고도 이 시기에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 교정치료입니다. 요즘 김연아 선수의 영향으로 교정에 대해 관심이 더 높아지고 있는 것 같은데요, 보통 6세에서 12세 사이에 유치가 빠지고 영구치열이 완성되기 때문에 이 시기에 부정교합이 잘 발견됩니다.
치아가 많이 비뚤거리거나 윗니와 아랫니가 제대로 맞물리지 않을 경우, 입이 돌출되거나 주걱턱 등의 증상이 있다면 충치나 잇몸질환이 발생하기 쉽고, 심미적으로도 교정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치료 시기는 아이들의 상태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성장을 이용한 치료가 적합할 경우에는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훨씬 유리하기 때문에 사춘기 이전에 치과의사와 상의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픈 곳이 있든 없든 1년에 한 두 번씩 치과에 방문하는 것이 필요한데 아이들을 치과에 데리고 가기 쉽지 않으시죠? 많은 부모님들이 평소에 치과에 대해 이를 빼고 주사를 맞아야 하는 무서운 곳으로 표현하고, 겁을 주는 경우가 많은데 아이들이 치과 치료에 두려움을 느끼는 큰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어른 치아가 나오는 것을 축하해주며 긍정적이고 친숙한 곳이라는 이미지를 갖게 해준다면 아이의 치아가 좀 더 건강하게 관리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