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수산물 유통사업에 대해서도 대수술이 예상되고 있다.
지난 9일 농수산 마케팅사업단 업무인수과정에서 박 당선자의 주문이 이어졌다.
서울에 있는 해남미소를 통해 농수산물을 판매해왔던 것을 전면 수정, 마케팅사업단이 상품과 포장, 판매 전략을 직접 세우라고 주문하고 나선 것이다.
박 당선자는 마케팅 부서가 농가에 지원되는 저온저장시설 등 각종 시설사업 등을 지원하고 감독하는 시대는 지났다며, 농수산물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일에 전력을 다해 줄 것을 주문했다.
한마디로 유통시설과 유통을 지원하는 기존 틀을 과감히 버리고 농산물 유통에 대해 공직자들이 전면에 나설 것을 요구하고 나선 것이다.
농민들과 직접 만나고 전국을 뛰어다니며 판매 전략을 세울 것을 주문한 박 당선자는 기존의 유통사업단 업무의 전면 개선과 함께 해남 농수산물을 집적화 할 수 있는 유통회사 설립과 무료급식 시대를 맞아 친환경 농산물물류기지 조성도 주문했다.
박 당선자는 해남농수산물이 대도시 시장으로 판매돼 다시 해남으로 내려오는 과정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해남에 농수산물 유통회사를 설립해 자체 내에서 유통이 되는 시스템을 요구했다.
또한 정부 차원에서 무료급식이 시행되는 날이 얼마 남지 않았기에 그에 대비해 우리지역 농수산물을 대도시 학교에 공급할 수 있도록 친환경농산물물류기지 조성도 함께 주문했다.
현재 해남군내 학교들도 지역 내에 농산물물류기지가 없어 대도시 시장에서 농수산물을 공급받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해남지역을 비롯한 인근 시군의 학교를 겨냥한 친환경농산물물류기지 조성을 서둘 것을 주문한 것이다. 이와 함께 박 당선자는 RPC의 구조조정도 요구했다.
현재 각 농협 RPC별로 각자 쌀을 브랜드화해 판매하는 것은 맞지 않다며, 가공과 유통은 옥천농협에 맞기고 타 농협들은 쌀을 저장하는 등의 역할분담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당선자는 옥천 RPC에 100억원이 넘는 돈을 투자한 것은 전국 제일의 쌀을 가공해 판매하라는 의미가 담겨 있다며, 타 농협은 농가로부터 쌀을 매입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옥천농협은 가공 유통하는 시스템으로 가야 해남쌀의 단일화와 고급화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공무원이 전국을 돌며 쌀을 판매하는 것도 맞지 않다고 밝힌 그는 쌀 유통구조를 만들고 판매 전략을 세우는 등의 역할을 농수산물마케팅사업단이 해야 한다며, 그동안의 역할을 대수술할 것을 주문했다.
박영자 기자/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