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들은 송전탑으로 인한 피해는 누가 말하지 않아도 알고 있다며, 송전탑으로 인한 전자파 피해는 차치하더라도 경관훼손과 지가하락, 생활의 불편 등을 꼽으며 건립을 반대하고 있다.
송전탑 피해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최예용 소장은 송전선로는 고압의 전기가 흐르고 이로 인한 전자파 피해에 대한 논쟁이 계속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 소장은 송전탑 인근에서 생활하는 어린이들에게 백혈병과 뇌암 등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되고 있으며, 송전탑 인근에 사는 아이들이 멀리 떨어져 생활하는 아이들에 비해 위험 비교도에서도 2배 이상 차이가 난다는 연구결과도 발표되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WHO(세계보건기구)에선 사전 예방적 원칙에 의거해 민가와 학교시설 등에 송전철탑을 세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권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 소장은 송전탑으로 인한 전자파 피해는 둘째 치더라도 경관훼손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와 시각적 공해 등이 심각하다며, 비용이 들더라도 지중화가 모색돼야 한다고 밝혔다.
산이 금호와 산두마을에서는 송전탑 건설 반대가 본격화 되고 있다. 하지만 한전 측은 주민들의 지속적인 이해와 설득, 마을과 이격 등을 내세우며 송전탑 건설 계획을 강행하려 하고 있다.
이곳에 들어설 15만4000볼트의 11기 송전탑은 두 마을만의 문제가 아니라는 것도 문제이다. 송전탑이 들어서는 곳은 J프로젝트 개발지역인 동시에 화원관광 단지 진입부로 해남군의 관문에 해당하는 곳이라는 점이다.
해남군과 해남군의회 등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송전탑 건설 반대는 전국적인 현상으로 진도와 경상도 밀양, 경기도 군포, 서울 노원구는 지자체와 주민들이 함께 해결책을 찾는 사례로 꼽히고 있다.
서울 노원구는 한전의 송전탑 건설 사업이 국책사업이라 하더라도 법적절차를 무시하고 주민들의 민심을 무시한 일방적인 사업이라며 송전탑 건설을 철회시키기도 했다.
경상도 밀양의 경우 지자체와 한전, 주민 등이 송전탑 분쟁 조정위원회를 구성해 송전탑 문제에 적극 대처하고 있다. 해남군과 군의회도 산이면 주민들이 반대에 나서고 있는 송전탑 문제에 대해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편 한전은 J프로젝트 개발에 따른 신규수요 대비 전력계통 보강을 목적으로 영암 삼호~화원 변전소간 10.6Km 15만4000 볼트의 송전선로를 연결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10.6km 구간 중 삼호변전소에서 금호도 입구까지 6.8km 구간은 지중화하며 금호도~화원변전소 구간엔 11기의 송전철탑을 세워 전기를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이 과정에서 한전은 삼호변전소에서 금호도 구간은 J프로젝트 구간으로 경관 훼손이 우려된다는 전남도의 건의를 받아들여 지중화로 설계했다. 박성기 기자/
해남우리신문
wonmok76@hanmail.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