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이 지난 13일 토론회에서 밝힌 시민공천배심원제 규모는 전문가그룹과 시민으로 구성된 200명이다. 그리고 200명으로 구성된 시민공천배심원단에게 사실상 후보 선출권을 준다는 내용이 주다 .
민주당은 전문가 그룹 배심원 구성에 있어서는 먼저 학계와 시민단체, 계층별 대표단체 등과 정치협약을 체결해 1062명(2010년6월2일 상징)을 추천받은 후 그 중에서 무작위 추첨을 통해 100명의 전문가 배심원을 뽑는다는 것이다. 또 전문가그룹에는 여성과 장애인 등에게 일정비율을 보장한다는 내용도 담았다.
현지 유권자들로 구성될 시민배심원은 전화여론조사 표본 추출방식으로 뽑는 대신 성별, 세대별 구성비율을 반영해 100명을 선출한다.
200명으로 구성된 시민공천배심원단은 민주당 공심위에서 1차 심사를 거친 후보 중에서 최종 후보를 선정하게 되는데 공심위의 1차 심사는 후보 지지도 여론조사 내용이 반영된다.
시민공천배심원단의 최종 후보 결정은 공심위에서 1차 심사를 거친 후보들의 토론회를 지켜 본 후 결정하고 선출된 후보는 민주당 최고위원회와 당무위원회의 인준만 받으면 된다.
시민공천배심원제가 적용될 지역은 민주당이 전략적으로 선택하게 되는데 복합선거구의 기초단체장을 중심으로 정치적으로 상징성이 있는 지역을 고려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최고위원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거나 시·도당이 요청할 때 서로 간 협의를 통해 적용대상지역을 선정한다는 것이다.
민주당의 이같은 시민공천배심원제에 대해 당내의 반발도 예상되고 있다.
특히 호남지역 지구당 위원장들은 시민공천배심원단에게 공천 결정권을 준다는 것은 무리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김영록 국회의원도 시민 배심원단에게 최종 선출권을 준다는 데에 대해 반대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다수의 군민이 참여하는 군민경선제가 바람직 할 수 있다는 입장인 김의원은 중앙당이 어떤 내용을 결정하든 따르겠다는 입장이지만 지역 사항을 잘 모르는 전문가 그룹과 소수의 시민 배심원단이 후보를 선출한다는 것은 우려되는 부분이 많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영자 기자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