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당선자는 마산 뜬섬을 보존해 람사르 논습지로 지정할 의향이 있음을 내비쳤다.
마산 뜬섬은 인공 섬이지만 그동안 사람의 접근이 차단돼 생태계가 그나마 보존되고 있다.
즉 영산강 3단계 간척지 공사로 영암호에서 생겨난 53만평 규모의 뜬섬은 그동안 정부에서 개발을 유보해 자연상태를 유지해 왔다. 그동안 정부에서도 뜬섬의 가치를 인정해 농지조성을 유보하고 갈대가 무성한 섬 주변과 일부지역에 대해 자연생태를 보전하겠다는 입장을 거듭해 왔다.
또 이곳을 자연이 숨쉬는 친환경지역으로 보전하겠다며 습지조성과 철새 서식이 가능한 곳으로 조성하겠다는 입장도 되풀이 했다.
그러다 최근 들어 정부가 뜬섬에 대한 개답공사와 다리공사를 발표하면서 환경단체의 반발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환경단체에서는 뜬섬에 대체습지를 조성해 희귀 철새의 서식 공간을 확보해 주고 황새와 같은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업을 전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뜬섬을 생태환경 복원의 모델로 삼기 위해 이곳을 친환경 농업단지로 만들고 논습지 공원을 조성해 람사 논습지 지정을 받으면 세계적인 인공섬 습지로 발돋움 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순천시가 순천만 습지를 보존하면서 일명 생태도시로써 세계적인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점에 주목할 것을 강조하고 있다.
뜬섬의 개발과 다리공사는 결국 인공섬이 갖는 가치를 스스로 상실하는 결과를 낳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환경단체에서는 뜬섬 보존에 대한 고민을 농수산식품부와 전남도, 해남군, 농어촌공사와 함께 해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는 것이다.
이번 박 당선자가 밝힌 뜬섬 보존에 대한 입장은 뜬섬 문제와 관련한 논의가 다시 제기될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환경단체와 정부와의 입장이 서로 상반된 뜬섬 보존 문제는 많은 시간이 걸리더라도 합의점을 찾아야 할 문제이지만 이에 대한 해남군의 입장도 분명히 있어야한 한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