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군이 농진청에서 공모한 국립아열대작물 실증센터 유치에 사활을 걸고 나선 것은 이 시설을 유치해야만 농업연구소와 체험교육단지가 포함된 농업연구단지를 덩달아 유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농업연구단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국책사업으로 90ha 규모에 총 1,835억원이 투입된다.
완도군은 지난해 국립에코식물원을 유치했고 고흥군은 총사업비 564억원이 투입되는 국내 유일의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 구축사업을 진행중이다. 이 또한 국책사업이다. 장흥군도 올 초 국민체육인교육센터를 유치했다.
전국 최대 농지면적을 가지고 있는 해남군이 농업연구단지 유치에 욕심을 내는 이유도 국책사업을 통해 해남을 기후변화 대응 농업군으로 특화시키기 위해서다. 또 전남 서남부권의 균형발전차원이기도 하다.
이에 해남군과 군민들은 지난해 농업연구단지 유치에 일찌감치 뛰어들었다. 기류도 좋았다.
그런데 농진청이 올해 들어 농업연구단지 내에 들어설 시설 중 하나인 국립아열대작물 실증센터를 따로 떼어내 공모에 들어가면서 이상기류가 형성되기 시작했다. 공모내용도 해남군에 불리하다. 이미 특정지역을 염두해 둔 공모내용이라는 이야기도 나돈다.
현재 국립아열대작물 실증센터 공모는 농진청이, 농업연구소와 기후변화 체험교육단지는 전남도 주관으로 양분화돼 있다. 만약 농진청이 주관하는 국립아열대작물 실증센터가 다른 지역으로 유치되면 이후 전남도가 공모할 농업연구소와 체험교육단지 유치도 어려워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이유는 모든 시설이 농업연구단지에 포함된 사업이기 때문이다.
지난해는 해남군민 전체가 농업연구단지 유치에 온 힘을 기울인 해였다. 해남군민 모두가 하나의 여망을 가지고 힘을 모았던 농업연구단지였다.
국립아열대작물 실증센터를 포함한 농업연구단지는 농진청의 시각에서 벗어나야 한다. 해남은 해양성 및 대륙성 기후를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기후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곳이다.
또 농업시설을 짓는데 대도시 접근성과 근접성에 높은 점수를 준다는 것도 너무도 지나친 농진청 중심의 사고이다.
- 기자명 해남우리신문
- 입력 2020.05.18 16:54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