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을 안길을 막는 분쟁이 잦아지고 있다.
길을 막는다는 것은 대화보단 단절을 의미하는 최악의 선택이다. 해남에서도 여러차례 길분쟁 이 일어났다. 길을 볼모로 자신의 입장을 관철하려는 것은 마을주민들의 불편을 담보로 하기에 공동체마저 깨진다.
분쟁 당사자 간 화해조정이 되지 않으면 그 피해가 전 주민에게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분쟁이 생기면 가장 먼저 공무원들에게 불똥이 튄다.
당사자간의 분쟁인데 애먼 공무원들이 애를 먹는다는 말이 맞는 듯 하지만 사실 그렇지는 않다. 이미 행정의 업무영역이 당사자간의 갈등조정으로까지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광주나 서울시 등 일부 지자체는 갈등에 따른 전문가를 양성하고 사례를 분석하고, 또 분쟁지원센터를 설립하는 등 체계적인 갈등관리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의 경우는 행정에서 추진하는 공공적 영역에서 발생하는 주민들과의 갈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도시개발을 추진하는데 따른 주민들의 반대 등을 사전에 조율하거나 이미 발생한 민원들을 해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전문갈등조정인을 두고 있다.
광주시의 경우는 민간인들 간의 갈등조정에 맞춰져 있다. 주로 아파트 소음이나 주차 등 작지만 생활 속에서 자주 부딪치는 주민들 간의 갈등이다.
이를 위해 광주시는 시청과 5개 구청에 전문가로 구성된 마을분쟁지원센터를 두고 있고 민간으로 구성된 54개소의 소통방을 운영하고 있다.
작은 갈등이지만 법적 분쟁으로까지 갈 수 있는 것을 화해조정을 통해 해결하는 것이 이들 단체의 목표이다. 또 갈등으로 인해 헤쳐질 수 있는 공동체를 지키기 위한 목적이다.
해남군에도 각종 개발에 따른 갈등과 주민들 간의 갈등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해남군은 공동체 강화를 위해 14개 읍면에 주민자치위원회를 구성했다. 해남공동체를 위한 갈등지원센터, 해남 실정에 맞는 센터가 생겨나야 한다.
- 기자명 해남우리신문
- 입력 2020.08.31 15:41
- 댓글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