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이면 주민들이 최근 폐기물재활용시설을 놓고 행정에 대한 불신을 가감 없이 토해내고 있다. 또 산이면 주민 차량에는 여지없이 폐기물재활용시설 반대 깃발이 내걸려 있다. 
폐기물재활용시설은 돈사, 양계장, 쓰레기처리장, 골재 및 아스팔트 사업장, 화장시설, 오수처리장처럼 일상생활에 꼭 필요한 시설이지만 대표적인 기피 사업장이기도 하다.
이유는 명쾌하다. 악취 때문에 일상을 빼앗기고 주변의 토지가치도 떨어지기 때문이다. 빼곡한 건물이 들어찬 대도심에서는 이러한 피해가 비교적 덜하다. 주거공간이 빼곡히 밀집돼 있기 때문에 애초에 문제가 발생할 만한 사업장 부지가 들어서는데 제약요건이 많다. 
이에 비해 해남군은 땅이 넓고 주거도 넓게 분포돼 있다. 또한 농촌의 노령화로 인해 주변에 어떠한 시설물이 들어오는지에 대한 정보접촉도 미흡하다. 기피 건물들은 이러한 농군의 허점을 파고들어 하나둘 해남을 잠식하고 있다. 
대부분 기피 사업장은 제도적으로 행정적으로 문제는 없다. 그렇다고 주민들의 삶에 피해가 없다고 장담할 수도 없다. 
그렇기에 한 번 생겨나면 주변 주민들은 참고 살아야 한다.  
주민들이 더욱 억울함을 호소하는 것은 피해자가 직접 피해 상황을 입증해야 하는 법적 모호함도 있지만 행정의 미온적 태도에서 있다. 
허가에 있어 주민의 입장이 백분 고려되지 못하고, 신고 때만 잠깐 방문을 하거나, 법적 기준치를 넘지 않았기에 문제가 없다는 식의 접근이 행정의 불신을 쌓고 있고 이러한 사업장에 대한 혐오감을 더욱 부추기고 있다. 
분명 문제가 없다고 들어선 건물들이 주민의 삶을 파괴하고 행정에서는 법적 잣대만 들어대니 주민들만 억울할 뿐이다. 
그동안 기피시설에 대한 허가 및 관리가 제대로 이뤄졌다면 이번 산이면과 같은 대규모 집회가 일어났을까. 지금이라도 고민해 볼 문제다.    

저작권자 © 해남우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